초록 열기/닫기 버튼

역사교육의 목적에 관해서는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어 왔는데, 전통적인 역사교육으로 언급되는 것은 문화유산의 전승, 도덕 교육, 현재와 미래에 대한 이해 증진이다. 이 글에서는 역사교육의 전통적인 목적 가운데 하나인 ‘문화유산의 전승’이 현행 초·중·고 역사 교과서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 역사 교과서에서 문화유산과 관련된 내용은 주로 사상사와 문화사 부분에서 언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불교와 유교의 전래와 보급, 불교문화와 유교문화와 관련된 내용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문화유산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해서 교과서에서 관련된 내용의 분량을 더욱 늘리는 방법은 적절하지 않다. 그보다는 인근에 있는 박물관과의 연계 학습을 통해 우리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해 보는 방법으로 우리 문화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Various discussions have taken place regarding the purpose of education of students regarding history. Usually being referred to as a traditional type of education, history incorporates the traditional purposes of education, which is to promote a sense of heritage toward traditional culture, develop moral education as well as to lead to current and future understanding. In this paper, we want to explore how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is being implemented into the present history textbook system. The contents of traditional cultural in our current history textbooks are mostly mentioned within the discipline of history and on thoughts and opinions toward traditional culture. For example, there are many aspects of Buddhism, Confucianism, and its introduction as well as Supply throughout history. It is not appropriate to increase the amount of content related to the content of textbooks. It is necessary for education of traditional culture to carry on. Rather, we will be able to gain more interest in our traditional culture by going to museums and experiencing our traditional culture firsth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