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direct written corrective feedback and further examined whether learner differences in grammatical sensitivity and knowledge of metalanguage mediates the effect of written feedback in improving the use of English articles for generic and specific plural reference. Forty-five Korean university students from two intact clas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each class was assigned to the direct feedback only and direct metalinguistic feedback group. The study used a pretest-posttest design, with two treatment sessions. The direct feedback only group was given the correct constructions on the linguistic target, while the metalinguistic feedback group received additional metalinguistic explanation along with direct corrections. The two groups were assessed using a text summary and a truth value judgement test to measure developments in the use of the target article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groups gained from pretest to posttest in the use of articles for specific plural reference, but not for generic. Additionally, grammatical sensitivity and knowledge of metalanguage showed no significant impact on either of the two groups. The results support previous research in favor of written corrective feedback as an effective tool in developing the use of articles.


본 연구는 직접 쓰기 교정 피드백이 영어 아티클(무표형/한정 복수형) 습득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문법 민감도와 메타언어 지식이 직접 쓰기 교정 피드백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45명의 한국 대학생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그룹은 직접 피드백만 받았고, 두 번째 그룹은 직접 피드백과 메타언어 피드백을 함께 받았으며, 아티클 사용의 향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텍스트 요약과 문법성 판단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두 그룹 모두 한정 복수형을 나타내는 관사 사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나 무표형 복수형을 나타내는 관사 사용에서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문법 민감도와 메타언어 지식이 두 그룹의 시험(텍스트 요약과 문법성 판단 시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쓰기 교정 피드백이 관사 사용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기존 연구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