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재난심리지원 실무자의 보고를 통해 초기 대응단계에서 유가족이 경험한 어려움이 무엇이었으며, 초기에 제공된 재난심리지원 서비스에 대해 유가족의 경험이 어떠했는지, 이를 통해 유가족에게 도움이 된 것과 한계점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유가족이 서비스의 어떤 측면을 긍정적으로 보았는지, 실무자는 어떤 요인을 회복과정의 촉진요인으로 인식하는지를 발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세월호 참사 직후 유가족에게 초기 재난심리지원 서비스를 제공했던 실무자 35명의 인터뷰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57개 개념이 도출되었고 개념으로부터 16개 하위범주가 추출되었으며 하위범주는 6개 상위차원으로 기술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세월호 참사 이후 유가족의 초기 심리사회적 반응과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을 통한 변화과정을 구조화하였으며 논의를 통해 차후 재난심리지원을 위한 실무자 교육이나 서비스 평가, 재난심리지원 정책 수립단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psycho-social experiences of the bereaved family during the initial response stage and how they progressed through the disaster support services by interviewing the disaster support workers. Total of thirty five responders who provided psycho-social support services after the ‘Sewol’ Ferry accident were interviewed indepth. We analyzed the data using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CA) method. As a result, 57 meaningful concepts were derived from 57 statements, and fall into 16 categories with 6 dimensions. Based o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the changing process an integrated model of the bereaved family’s grief and through carly psycho-social reactions to the disaster support service after the Sewol disaster. Finally, this study recommends important components in decision-making for disaster psychosocial support, its practitioner training and service evaluation. Practical implications for disaster policy issue, training program for disaster workers, support system evaluation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