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외식산업 종사원의 조직침묵, 반생산적 과업행동 및 이직의도와의 인과관계에서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를 실증분석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337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적합성을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총 9개의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모형의 적합도는 χ2=383.441(df=160), p<.001, CMIN/df=2.397, GFI=.895, AGFI=.862, NFI=.931, CFI=.958, TLI=.950, RMSEA= .064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 종사원 조직침묵의 하위차원의 체념적 침묵과 방어적 침묵은 반생산적 과업행동의 하위차원인 동료에 대한 반생산적 과업행동과 조직에 대한 반생산적 과업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생산적 과업행동의 동료에 대한 반생산적 과업행동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나 조직에 대한 반생산적 과업행동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종사원 조직침묵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는 체념적 침묵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방어적 침묵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용형태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비정규직이 정규직에 비해 체념적 침묵에 의한 이직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silence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CWB) and subsequent turnover intention. It also tested the difference between contract and regular workers in these relationships. To verify the hypotheses, the study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pplied to 337 employees in the foodservice industry. The results show that: 1) Two types of silence behavior (acquiescent and defensive silence) significantly influence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CWB). 2) Interpersonal CWB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whereas organizational CWB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turnover intention. 3) Acquiescent sile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urnover intention, while defensive silence did significantly influence turnover intention. 4) Contract workers showed higher turnover intention than regular workers through acquiescent silenc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