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FTA의 대응책으로 제안된 스마트팜의 확산이 빠르게 진행되는데 있어 장애는 무엇이고, FTA와 스마트팜의 확산 간의 어떠한 영향 관계가 있는지, 이러한 영향이 농업분야 FTA 이행에 있어 정부의 지원정책에 갖는 함의를 무엇인지를 탐색해 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글은 실천적으로는 농업분야 FTA 대응을 위한 정부지원정책이중복되거나 연속성 없이 제시되지 않도록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기여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며, 학문적으로는 스마트팜을 통한 농업분야 기술의 확산과 FTA의 활용에 대한 이론 간 융합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연구결과를 통해 FTA의 대응책으로서 스마트팜을 성공적으로 보급하기 위해서는 농업분야의 정보격차를 해결할수 있는 농업교육정책과, 농업 데이터의 플랫폼 산업을 위한 입법, 대농 중심의 기술보급을 통한 양극화를 줄이고실업에 대한 안전망이 될 수 있는 재정적인 지원 등 FTA의 기술보급에 대한 광범위한 영향을 고려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결론 짓는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barriers to the adoption and diffusion of smart farming as a countermeasure for FTAs. This also purports to nav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TAs and the diffusion of smart farming technologies and to suggests the implication on government support for agriculture in implementing FTAs. By doing so, this paper has importance practically in suggesting the overall policy directions in the diffusion of technologies for liberalization of agriculture under FTAs, and academically in extend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FTAs to the theories on the diffusion of technologies in agriculture sector. With the results, this paper suggest policy measures that cover the far-reaching effect of FTAs on the diffusion of technologies in agriculture sectors. This includes the reform of agriculture education to reduce the digital divide in agriculture sector for the successful diffusion of smart farming. It is also important to prepare for the legislation for the sector that covers data from smart farming. As well, it is proposed that the financial safety net is necessary in mitigating the unemployment caused from the automation and the polarization of small and big farms caused from the big farm oriented technologies ado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