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1924~1930년 윤백남의 행적을 검토하며, 야담과 신문연재소설 창작을활동의 중심으로 전환하던 시기 그의 문예활동의 행적과 의미를 검토하는 논문이다. 1924년부터 1928년까지 백남은 경남에 거주하면서 영화감독과 교육자로 활동하였다. 전통과 대중성의 결합을 모색한 백남의 비평적 관점은 부산의 조선키네마와 백남프로덕션에서의 감독 및 제작 활동으로 실천되었다. 경남 유일의 조선인 사학 합성학교의 교장으로 재임하면서 백남은 김해토요회의 상무간사를 맡았고, ‘불온분자’ 들이 모여 있었던 토요회의 활동은 당국의 견제를 받았다. 합성학교 분규로 학교자산이 일제에 강탈된 시기 백남은 경성으로 상경한다. 아동교육, 농촌사회가 처한 식민지적 현실의 관찰과 경험은 이후 문예운동론에서 역설하는 ‘보편적 교육’을 위한 대중문예론 매체론의 토대가 되었다. 이 시기의 단편 「월자와 시계」에 드러나는 ‘비참한 코미디’의 감각, 해학적 소재와 서사진행 가운데 식민지 현실의 비참함과 아이러니가 환기되는 결말의 구조는 이후 창작한 야담과 대중소설을 관통하는 정조로서 주목할 만하다. 『동아일보』에 29개월동안 연재된 「신석수호전」은 드라마적 글쓰기를 바탕으로 신문연재소설의 구성방식을 실험하며 직업적 문필가로 전회하였던 과도기의 작품이다. 축약적 사건전개와 대화, 높임, 입말에 비중을 둔 담화, 이야기조의 문체를 주로 사용한 「신석수호전」은 이야기꾼의 구연방식에 근접해 있었다. 김성탄본을 저본으로, 결말에서 국가에 저항하는 ‘양산박’을 온전히 남기며 흉몽의 서사로 끝맺음한 「신석수호전」에서 그는 ‘비참한 코미디’의 정조를 이어갔으며 반정사를 주제로 연속된 그의 신문연재소설 기획을 구체화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literary activities and meanings of Yoon Baek-Nam’s work from 1924 until 1930, a time when the author’s creative endeavors were centered on Yadam and the novel series published in newspapers. From 1924 until 1928, Yoon worked as a film director and an educator living in Gyeongnam. His critical mindset of combining tradition with popular culture was manifested through his directing and producing activities at Chosun Kinema and Baek-Nam Production. As the head teacher of the only Korean private school in Gimhae, Hapseonghakgyo, Yoon was also a senior member of the Gimhae Saturday Meetings where the organization’s activities were kept in check by the authorities. Yoon moved to Gyeongseong after a dispute with the Japanese authorities led to the confiscation of the school’s asset. The dire conditions of education and the agricultural society under the Japanese rule became the basis for advocating ‘universal education’ in popular literature theory. The misery behind the comedic elements, and the writing structure whereby the ironies of the Colonial period re-emerge in the ending as shown in the short story, “The wig and the clock,” written during this time are notable elements that appear throughout his Yadam and popular novels. Shinseoksuho-jeon, a novel published in Donga-Ilbo for 29 months is Yoon’s transitional work where he experimented with the compositional elements of a dramatic series. The tightly-constructed plots and conversations, discourse based on honorification and conversational language, and the storytelling style of Shinseoksuho-jeon are likened to the narrative of a raconteur. Shinseoksuho-jeon takes Jin Sheng-tan’s Shuihuzhuan as its motif, which conserves Yangsanbak as the resistor against state and ends as a story of a nightmare. Here, Yoon continued with the notion of ‘miserable comedy,’ developing his novel series based on the theme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