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제 통합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평가 참여의 방식과 내용, 평가조정 관련 의사결정 등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를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반학교에 재직 중이고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초ㆍ중등 특수교사 1,03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시간제 통합교육을 받는 특수교육대상학생들에게 적용되는 평가 유형과 방법은 학교급별로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초등 과정에서는 공통교육과정의 내용을 수정하여 가르치고 평가하는 등 담당교사에 따라 학생들이 참여하는 평가유형이 달라지는 반면에, 중등 과정에서는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평가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 둘째, 수행평가에 참여하는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을 위한 특수교사의 지원은 평가 환경 및 평가 자료의 수정이 주를 이루었다. 셋째,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평가 관련 규정 면에서, 중등 과정은 신체장애를 가진 학생에 대한 평가조정 지침 위주로, 초등 과정은 신체장애 및 인지적 장애를 가진 학생을 위한 평가조정 지침을 포함하는경우가 다수였다. 넷째, 중등 과정은 초등과정에 비해 평가 관련 의사결정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평가 참여 및 평가조정에 대한 사항이 IEP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가 절반을 넘었다. 다섯째, 개별화교육지원팀에서 평가와 관련된 의사결정을 할 때 학생의 장애 유형과 장애 정도, 보호자의 의견, 학생의 현재 기능 수준을 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학교급별 실태 조사 결과의 의미를 해석하고, 향후 시간제 통합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학업성취도 평가의 개선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valuation practices of academic performance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who were partially included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at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 There were 1,034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worked in inclusive schools nationwide answered an online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ally included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in general, participated in the same evaluation practices as their peers without disabilities in terms of evaluation types, criteria, and result report. At the elementary level, there was flexibility in implementing evaluation practices depending on subjects or teachers whereas fairness in evaluation practices was highly emphasized at the secondary level.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pports for performance assessments were mainly to provide accommodations in environments and materials. Third, most schools had the assessment regul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the school building level, however test modifications regulations were listed for limited subjects. Fourth, the IEP team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elementary level relatively made more evaluation-related decisions than those at secondary level. Lastly, the IEP teams considered a student’s types and degree of disability, parents’ opinions and his/her present performance level when their decision for evaluation practices.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valuation practice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partially included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were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