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비트겐슈타인의 상-보기 고찰은 심리철학과 관련한 많은 함의를 갖는다. 그 고찰에서 상은 내적인 것이다. 그런데 내적인 것은 외적인 기준들을 필요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자체 존재로서의 내적인 것이란 관념은 착각임이 드러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내적 체험의 표현이 갖는 독특함으로 인해, 그것을 외적인 것과 구분되는 어떤 것으로 여기려는 유혹을 끊임없이 받는다. 그런데 비트겐슈타인은 내적 체험의 표현이 갖는 그러한 독특한 성격을 ‘관상’ 개념으로 해명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그의 고찰에 따를 때, 내적 체험의 표현이 갖는 관상은 그 체험의 표현에서 표명(외화)된다. 그리고 우리가 내적 체험이라고 말하는 것이 그 체험의 표현이 갖는 관상에 속하는것이라면, 그 때의 내적 체험은 어떤 매개관계에 의해서 기술되는 것이 아니라 언어놀이에서 그 체험의 표현에 흡수되어 표명된 것을 뜻하게 된다. 이러한 해명을 통해우리는 내적 체험의 표현에 현혹되어 내(면)적인 것 그 자체에 대한 설명을 좇는 잘못된 철학적 질병에 빠져들려는 유혹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된다.


The Wittgenstein’s consideration about aspect-seeing has plenty of implicative suggestions concerning the philosophy of mind. In the consideration, the aspect is the inner, which stands in need of outward criteria. This shows, therefore, that the notion of the inner as being in itself is an illusion. Nevertheless since the expression of inner experience has a distinctive character, we are unceasingly tempted to regard the inner experience(Erlebnis) as peculiar something distinct from the outer. Well, it seems like that Wittgenstein explicates the distinctive character of the expression of inner experience through the concept of physiognomy. According to his consideration, the physiognomy, which the expression of inner experience has, manifests in the expression. If what is said to be the inner experience belongs to a physiognomy which the expression of inner experience has, this means that the inner experience is not described by any mediation but absorbed(annehmen) into the expression of it. By this explication, one is not seduced into falling into philosophical illness which being deceived by the expression of inner experience, tries to take the inner in itself and explain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