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의 부모효능감과 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간 관계를 종단적으로 확인하고자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 널(MAPS) 자료 중 2011, 2013, 2015년 3개년 자료를 활용하였고 모형 검증 결과, 부모의 효능감이 다문화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 간 관계는 시간에 따른 안정성을 보였다. 또한 한 시점의 부모효능감은 다음 시점의 다문화 학생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생의 자아존중감은 학교 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학교생활 적응은 다음 시점의 학생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순환적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가정 부모의 효능감과 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적응 간 관계가 종단적 상호관련성을 보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다문화 가정 학생에 대한 교육은 학생 성장에 따른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지도 방식을 필요로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ngitudinally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parenting efficacy of a multi-cultural family, a student’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For this research, 2011, 2013, and 2015 MAPS data of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had been us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elation of parenting efficacy with a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showed stability with the lapse of time. Parenting efficacy at one point of time positively influenced a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self-esteem at a different point of time. A stu dent’s self-esteem positively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which are related to a student's self-esteem at a different point of time. The result reveals that there were longitudinal relations between parenting efficacy in multi-cultural family, a student’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It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tinuous and systematic education for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consideration of their growth at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