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미디어에 나타난 선거 후보자의 정서가 공중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특정 미디어 이용의 조절효과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정서가 인지평가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의 의제설정 및 점화 효과에 대한 이론적 논의가 제공됐다. 방법론 상으로 TV 뉴스 영상으로부터의 키프레임 추출과 인물 표정으로부터의 정서 도출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실시됐다. 분석에서는 개인내 수준과 개인간 수준의 검증이 동시에 가능한 혼합모형 분석이 이용됐 다. 분석 결과, 긍정적 정서는 후보 평가에 긍정적으로, 부정적 정서는 후보 평가에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중립(자제된 정서)은 예상대로 후보 평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특정 미디어 이용의 조절효과는 영상, 인쇄, 소셜미디어별로 차이나는 연구결과를 보였다. 영상 미디어는 대부분 정서 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슬픔과 두려움에서는 오히려 영상미디어 이용이 미디어 정서의 후보 평가에 대한 영향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쇄미디어는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모두에서 미디어 정서의 후보 평가에 대한 영향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소셜미디어 이용은 이와 반대로 정서의 효과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lectoral candidates’s emotions provided by TV news on the public’ s evalu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pecific media use. For these purposes, theoretical backgroun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and cognitive evaluation, emotional agenda setting, and priming effect were discussed. Methodologically, visual key-frames were extracted from the TV news and eight different emotions were calculated from face expressions on the news through computer programs. Additionally, this study employed a mixed model analysis, which includes both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level analysis. As results, a positive emotion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candidate evaluation whereas negative emotions showed negative effects on the evaluation. An interesting discovery was made in the moderating effects of media use. In general, visual media did not show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in most emotions. Only in the case of sadness and fear, the use of visual media weakened the influence of media emotion on candidate evaluation. Print media has been shown to weaken the influence of media emotion on candidate evaluation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However, the use of social media turned out to enhance the effect of emo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