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 역량 척도를 개발하고, 그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유치원 교사의 역량 척도 개발을 위하여 국내ㆍ외에서 발행된 역량 관련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여 역량에 대한 정의를 내렸다. 기존 유치원 교사 역량의 구성요인, 유아교사 자기 평가 준거 등의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역량에 해당하는 하위요인의 내용을 추출하여 요인별로 유목화한 후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로 문항의 적합성을 검증하여 7개 요인 총 60문항이 예비문항으로 선정되었다. 최종문항 선정을 위해 예비문항으로 부산ㆍ울산광역시, 경남지역에 근무하는 국ㆍ공립유치원 교사 204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7개 요인, 24개의 문항의 유치원 교사 역량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유치원 교사 역량 척도의 구인 타당도와 공인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국ㆍ공립 유치원 교사 321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교사효능감, 직무능력 및 유치원 교사 소진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요인 분석결과 모두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공인 타당도 검증에서도 유치원 교사 역량 척도와 교사효능감, 직무능력 사이에는 매우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소진 척도와는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competency scale for kindergarten teachers. To develop a competency scale for kindergarten teachers first,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related with competency were analyzed to form a defenition of competency. Eliciting the sub-factors in competency constituents by investigating preceding research on competency constituent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self-evaluation criteria and verifying the suitability of the items through the three times Delphi survey, 7 factors and 60 items were selected as the preliminary items. For selecting final items, as a result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preliminary items was conducted to 204 teachers of national and public kindergarten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developing 7 factors and 24 items competency scale for kindergarten teachers.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321 teachers of national and public kindergartens and a correlation analysis among kindergarten teacher efficacy. The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good and the result of the concurrent validity test confirmed very high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competency scale, job performance and teacher efficacy while very high negative correlation with an exhaustion sca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