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권 담론은 학계에서나 대중적으로 사회적 약자의 피해와 억압에 대한 기술이 지배적이다. 이 글은 사회적 약자가 아닌 그 대척점에 있는 이들의 상황, 즉 피해자의 피해와 억압의 이면인 특권과 지배를 둘러싼 양상을 조명하고자 한다. 인종이론과 페미니즘에서 논의되는 특권 연구를 점검하면서 젠더 위계를 둘러싼 특권을 살펴본다. 현 자본주의적 가부장제에서 특권을 누리를 이들은 실제로 소수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남성은 자신들의 구조화된 특권을 인식하기 어렵고, 자유주의와 실력주의 이데올로기 속에서 내면화된 지배들이 보편화되어 있다는 것(특권을 순수한 노력과 재능으로 획득한 것으로 생각하거나 자신이 속한 집단이 가장 좋은 자격을 가장 잘 갖추었다고 생각한다)을 설명한다. 한편 특권은 부당함의 뉘앙스와 함께 개인의 능력을 벗어나는 운과 우연에 따른 긍정적 결과라는 암시를 준다. 이 글은 특권의 이론적 논의와 함께 고등교육을 받은 여성연구자의 사례연구를 통해 특권이 운의 영역이 아닌 이해관계, 선택, 사회적 과정,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등이 복잡하게 얽혀있음을 살핀다.


Human rights discourse has mainly focused on the description of oppression and suffering of the underprivileged in both academia and the public. This article moves the focus toward the privilege and domination of the structurally privileged which are not that visible in our reality. Drawing on the issue of privilege in critical race studies and feminism, I look at how privilege is operated in terms of gender and other hierarchies. Since there are extremely small number of people who enjoy utmost privilege in our capitalist patriarchy, most male don't recognize their own privilege. Besides, along with meritocracy ideology and liberalism the internalized domination is also pervasive(for example privilege is considered earned by their pure effort and capability, and they think the group they belong to is best qualified with what they have). Privilege, on the other hand, implies some positive nuances such as luck and contingency beyond individual’s capability. This article explores how privilege is interconnected with individual interest and decision, social process and patriarchal ideology rather than luck itself, while examining a Ph.D female researcher’s exper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