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디지털 융합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현대사회의 불통 현상과 더불어 이로 인해 야기되고 있는 인간 소외의 원인 규명을 미디어에 기초한 인간의 의사소통 행위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분석하고, 그 문제의 해결을 위한 방안의 모색을 유가의 和와 노자의 이상사회에 대한 의미 분석을 통해 시도한다. 이 점에서 동양철학의 융화적 사고와 융합미디어 시대의 사회적 소통성 연구는 우리가 지향해야할 미래 사회의 공감과 소통의 기제성을 마련하는 동시에 우리가 향유하고 있는 디지털 생활문화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틀을 마련하는 계기가 된다. 더욱이 동양의 관계적 세계관의 소통구조에 대한 의미 분석은 불통문화의 해결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동시에 의사소통 행위의 사회적 가치를 회복하는 이론 토대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causes of human alienation led by miscommunication in modern society with digital trans-media, examining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human beings’ communicative action based on media. For this problem, this paper intends to find a proper answer through an analysis on the meaning of 'He(和)' of Confucianism, and the Ideal Society of Daoism. In this perspective, the research of social communicativity and convergence thinking of Eastern philosophy in the trans-media era would give us a chance to prepare not only mechanisms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for the future society, but also a new frame of understanding of digital life-culture.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a semantic analysis of communicative structure of a relational world view of the East would becom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restoring social value of communicative action and at the same time would lead us to find a way to solve miscommunication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