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미학적 신학과 기독교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개념적 사유인 미학과 실천신학의 기독교교육과의 관계들을 탐구해 보며, 방법론적 유비(methodological analogy)로써 교회현장을 위한 적용점을 마리아 해리스(Maria Harris)의 미학적 접근에 근거하여 살펴보고 앞으로의 제언을 시도하려 한다. 하나님의 선하고 아름다우심에 대한 인식이 중세의 존재유비에서 비롯되어 칼 바르트(Karl Barth)가 말하는 믿음을 필요로 하는 신앙유비로 이해되었다면, 다시 한스 발타살(Hans Urs von Balthasar)에 의해 부활한 존재유비를 통해 신학적 미학이 리차드 빌라데서(Richard Viladesau)의 방법론적 접근으로 말미암아 그 장이 실천신학으로 확장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는 미학에 대한 실천신학의 한 분야인 기독교 교육적 접근을 통해 신학적 미학의 방법론적 유비를 시도해 보려는 것이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I장인 서론에서 이 연구의 개요를 설명하고, 다음 장인 II장에서는 미학과 기독교와의 관계를 살펴 볼 것이다. 미학에 대한 개론적 이해를 먼저 알아보고, 미학과 기독교와의 관계들을 보다 깊이 연구해 볼 것이다. 또한 III장에서는 신학 속 미에 대한 이해를 살펴 볼 것이다. 성서신학, 교회사, 조직신학과 미학과의 관계를 통해 신학적 미학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분석해 볼 것이다. IV장에서는 위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신학적 미학의 실천신학, 기독교교육에서의 적용점을 찾아보려 한다. 특별히 V장에서는 마리아 해리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심미적 접근들의 교육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들을 알아보고 마지막 VI장은 미래를 위한 기독교교육적 제언들로 연구를 마무리 할 것이다. 부르짖는 기도와 탄식을 들으시고, 그의 종들을 보내시던 성부 하나님께서는, 결국 인간의 몸을 입으시고 오신, 그리고 돕는 성령님을 주신, 삼위일체 하나님의 성육신의 사건이 하나님의 사랑의 표현의 방법론적 유비라면, 기독교교육은 이 방법론적 유비를 통해 그 복음의 메시지와 교리를 상황가운데 적용시키고 표현하는 소재인 신학의 성육화이다. 기독교교육에서 미학은 기독교사에게 영적인 도전을 주며, 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신비를 매개로 교육의 장을 넓히며, 방법론적으로 앎과 삶을 연결하여 프락시스(praxis) 속에 깊이 들어오게 한다. 이처럼 미학적 접근을 통해 기독교교육은 신앙과 신학의 삶과 현장으로의 성육화라는 풍성함을 누릴 수 있는 것이다.


This thesis is a study of aesthetics and Christian education.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esthetics as a thoughtful conception and Christian education as a practical theology, I will offer suggestions for fields of local churches as a methodological analogy based upon Maria Harris's aesthetic approaches. If Karl Barth's "Analogy of Faith" to recognize God's goodness comes from "the Analogy of Being" of the Middle Ages, I think that the fields of theological aesthetics are extended even to the practical theology by methodological approach of Richard Viladesau through "the Analogy of Being," which is renewed by Hans Urs von Balthasar. Therefore, this thesis will try "methodological analogy" through the approach of Christian education as a practical theology.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components. In chapter I, as the introduction, I will explain the outline of the study. In the next chapter, I will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s and Christianity. This chapter will consist of two sections. First, I will find the introductional understanding of aesthetics. Second, I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s and Christianity in more detail. Chapter III will explore the understanding of beauty in theology. There I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s and theology; biblical theology, church history, systematic theology in more detail. In chapter IV, based on the research above, I will find the point of application of the theological aesthetics for practical theology and Christian education. Chapter V will explore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aesthetic approach with Maria Harris's theory. And in chapter VI, as the last chapter, offering several suggestions for the future Christian education, I will close this study. The Father God heard His people's groaning and cried out, often sent his servants, and finally, He became a human being, Son of God. And he also sent the helper, The Holy Spirit. If the Triune God's incarnation is the methodological analogy of His expression of love, Christian education would be the incarnation of theology as subject matters which are messages and doctrines of Gospel that can apply and express to the context through this methodological analogy. Aesthetics of Christian education should give spiritual challenges to Christian teachers, extend the scope of curriculum, broaden the fields of education through mystery, connect between knowing and living methodologically, and let us admit the praxis deeply. In this way, with aesthetics approach, Christian education can enjoy the richness with incarnation of faith and theology to the prax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