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어의 양보 개념은 조건과 대립의 개념과 관련지어 설명되어 왔다. 기존 논의들에서 양보와 대립이 하나의 범주로 묶여 설명되기도 하고 분리되어 논의되기도 하였는데 최근에 대립을 상위 범주로 설정하고 양보를 그 하위범주라고 보는 논의가 있는가 하면 양보를 조건문의 한 종류로 보는 논의도 있다. 그러나 양보는 대립 관계와 달리 조건이 제시되고 그 조건에서 기대되는 결과와는 다른 내용이 와야 하는 의미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대립의 개념과 구분되어야 한다. 그리고 기존 연구들에서 대립 관계를 나타내는 접속 어미와 양보 관계를 나타내는 접속 어미가 통용되어 쓰이는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두 범주를 나타내는 접속 어미의 사용 양상이 유사한 것처럼 보이나 각각의 어미들은 차이점이 있다. 양보 관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어미 ‘-어도, -더라도, -(으)ㄹ지라도’는 종결어미 ‘-어, -더라, -(으)ㄹ지라’와 보조사 ‘도’의 결합형으로 양보절 접속문에서 보이는 화용론적 전제가 함축되어 있고 각 어미들은 보조사 ‘도’와 종결어미 ‘-어, -더라, -(으)ㄹ지라’의 성격이 녹아들어 있다. ‘-어도’에 사실성 명제가 결합되고 ‘-더라도’와 ‘-(으)ㄹ지라도’로 갈수록 가정성이 높게 느껴지는 것은 결합되어 있는 종결어미의 의미 특징과 관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lucidate characteristics of grammatical category of concession and semantic functions of concessive conjunctive endings. We argue that concession is different from opposition. This paper focuses on concessive conjunctive endings (-eodo어도, -deorado더라도, and -euljirado을지라도) and oppositive conjunctive ending (-jiman지만).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ir meaning. It has been said that concessive conjunctive endings have the meaning of 'denial of expection' and the meaning of 'denial of expectation' is the meaning of pragmatic oppositive conjunctive endings. However, category characteristics of concession are condition in the antecedent clause with denial of expectation in the following clause. This means that 'do(도)' is basically a determiner which can co-cocur with any element of a sentence in Korean. Therefore, 'do(도)' has been grammaticalized to a conditional marker in Korean when it is attached to a verb form. There are three conjunctive endings in Korean that denote concession: '-eodo', '-derato', and '-euljirado'. These three conjunctive endings are similar in that they all denote concession. However, they are not the same. They are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in terms of the speaker's assessment of probability. When the conjunctive ending '-eodo' is used, the event described by the verb to which the ending is attached to may or may not occur. The speaker is not interested in the fulfillment of the condi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ending of '-deorado' or '-euljirado' is used, the speaker assumes that the event is not likely to occ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