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문학작품은 텍스트 자체로 존재하기도 하지만 독자를 만나 실현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가와 독자 역시 작품 이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영역이다. 지금까지 작품과 작가에 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축적되어 있지만 독자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작가와 작품, 그리고 독자의 상관관계를 통해서 홍순학의 <연행가>를 논의해 보았다. <연행가>는 예정된 독자가 있었고, 그 독자는 집안 여성들이었다. 작가는 사신으로서 공식적인 여정을 소화해야 하는 입장과 작품을 기다리고 있는 여성 독자들의 관심 사이에서 많은 고민을 했을 것이다. 작가 홍순학은 전자보다는 후자에 무게를 두고 <연행가>를 지었다. 공식적인 여정은 최소화하고 여성들의 관심을 충족시킬 수 있는 개인적 견문과 흥미 위주의 내용을 중심으로 작품을 창작한 것이다. 공식적인 여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유락적인 연회 장면을 상세히 묘사한 것도 여성 독자들의 흥미를 북돋우는 데 목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성리학적 규범에서 일탈하여 유흥적 풍조로 흘렀던 19세기 당시의 문학사적 변모와도 관련이 있다. 작가의식 또한 독자와 무관하지 않다. <연행가>는 여성 독자들을 위하여 창작된 작품이기 때문에 사신의 서장관으로서 국내외 정세에 대하여 언급한 내용은 거의 없다. 있다 하더라도 많은 사건들 중 하나로 언급하고 가볍게 넘겨 버렸다. 그것은 흥밋거리를 요구하는 여성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사행 관리로서의 현실인식보다는 개인 유람객으로서의 견문과 정서를 중심으로 작품을 전개했기 때문이다. 한편, 홍순학은 서인 명문거족 출신으로서 보수적인 ‘소중화의식’을 가지고 있었음을 작품 전편에 걸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청나라의 앞선 문물에 대하여 경탄 어린 시선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여행지에서 처음으로 경험한 견문에 대한 놀라움이지 청나라에 대한 오랑캐 의식이 약화되거나 없어진 것은 아니었다. 여성 독자를 전제로 한 <연행가>의 이러한 보수성과 개방성은 보수적인 <계녀가>류, 그리고 거기서 일탈하려는 <화전가>류와 <자탄가>류가 공존했던 규방가사와도 상관이 있다. 나아가 소중화의식과 같은 보수성은 흥미 위주로 흐른 <연행가>를 여성들이 자유롭게 향유할 수 있는 명분이 되기도 했다. 이와 같이 볼 때, <연행가>는 여성 취향의 작품으로서 기존 사대부 문학의 규범을 일탈하여 흥미 본위로 작품을 전개하고 당시 문학의 풍조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개방성을 보여 주면서도 소중화의식으로 무장한 강한 보수성을 띠고 있기도 하다. 이것이 매우 보수적인 것 같지만 개방적인 성격을 지닌 <연행가>의 양면성, 이행기 문학적 성격이다.


The literary work exists in the text itself. It is realized by meeting the reader. Therefore, research on authors and readers with text studies is also a very important area for understanding the work. In this paper,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s’ works and reader, I tried to study Hong Sun Hak's <Yeonhaengga>. <Yeonhaengga> had scheduled readers. These readers were domestic women. Based on personal tour rather than official duties, the author weighted the attention and demand of female readers. The author created an interesting piece of work for female readers by minimizing official journey. Although it was a formal journey, describing details of entertainment was to increase interest of female readers. This is related to literary history of the 19th century which deviated from the norm of Neo-Confucianism to entertainment trend. The author's awareness is related to the reader as well. Because <Yeonhaengga> is a work created for female readers, there is few mention about the circumstances of domestic or foreign matters in this work. This might be because author wanted to meet the needs of women who demanded factoid rather than the awareness of a reality. On the other hand, I was able to confirm that Hong Sun Hak had a conservative ‘small Sinocentrism’ on the whole piece of work. This work showed a surprise for advanced civilization of Qing Dynasty. However, it did not mean that the view that Qing Dynasty was savaged, weakened, or forgotten. As a result, <Yeonhaengga> is open to breaking of literary norms of Sadaebu and actively accepting new literary trends as a work of feminine tastes. However, this work has strong ‘small Sinocentrism’ on the other hand. This is literary personality of transition period of <Yeonhaengga> that seems to be very conservative. However, it has an open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