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이주여성의 만족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자원의상대적 영향력을 실증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적 계층, 언어능력, 건강상태, 배우자 지지, 사회적 지지 등은 만족감을 높여주고 우울감을 낮추고 있었으며, 학력수준은 반대기능을 수행하였다. 건강상태, 배우자 지지, 사회적 계층이 영향력 등이 만족감과 우울감에 큰 설명력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세 가지 자원요소 중에서 사회적 자원이만족감과 우울감 설명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반면에 제도적 자원의 경우 약한설명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공적기관 지원의 경우 만족감을 낮추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었다. 셋째, 세 가지 자원을 중심으로 구성된 현재의 모형은 우울감보다는 만족감 설명에유용한 모형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이론적 차원에서 자원모형의 타당성을 보여주며, 정책적 차원에서 다문화 이주 여성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에서 다차원적 접근을 고려한 전달체계의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resource factors influence the immigrant women’s satisfaction and depression. For this work, we divided the resource factors into three; individual, social, institutional. Based on 2015 multi-cultural household survey,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 of three resource factors and sub-variables on th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Results show, first, social class, language ability, health, support from husband, and social support increase the satisfaction and decrease the depression. The education level takes a contrasting role. Health, support from husband, and socal class have larger explanation power. Second, among three factors, social resources take critical role in satisfaction and depression. However, institutional resource shows weak explanation power. Moreover, the support from public organization reduces the satisfaction. Third, present model based on resource, is useful to explain more satisfaction than depression. This study shows the validity of resource model in terms of theory and suggests the development of delivery system in public organization’s managing the support program for immigrant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