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역사는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지배 권력의 정당성을 인정하는 역사가 아닌 탄광촌 광부들의 저항의 역사를 기억하는 글쓰기에 주목하여 사북사건의 역사적 지평을 넓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이옥수의 『내 사랑, 사북』에서 발터 벤야민의 ‘기억하기’와 ‘역사 인식’의 글쓰기 방식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내 사랑, 사북』에서는 이옥수가 사북사건을 현재로 소환하여 민중 공동체의 저항의역사를 ‘기억하기’ 방식의 통과의례의 성장 서사 글쓰기 방식으로 재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이 작품에서는 인권을 억압당한 사북사건 저항 주체들의 생존권 투쟁의 목소리를 들려주는 사유 방식과 역사 인식의 글쓰기 방식을 확인하였다. 이옥수는 『내 사랑, 사북』에서 사북 탄광촌 저항의 역사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자본의 논리에 의한 사회의구조적 모순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이 연구는 『내 사랑, 사북』이 청소년소설로창작된 다양한 역사 인식의 문학적 실천으로써의 글쓰기라는 점에 그 의의를 둔다.


History can be interpreted from various different persp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historical horizon of the Sabuk incident by paying attention to the writing that commemorates the events of the coal miners’ resistance rather than focusing on the aspect of history that enforces the righteousness of the then ruling power. This study analyzes the ‘remembering’ and ‘historical cognition’ found in the writing style of Walter Benjamin in the Korean novel Sabuk, My Love by Lee Oksu. As a result, the history of the resistance of the public community was represented in a ‘remembering’ style of rites of passage in growth-narrative writing by recalling the incident of Sabuk to the present in the novel. Furthermore, by applying the historical cognition style of writing and a way of thinking, the novel identifies the struggles of those whose human rights were oppressed and their voices of survival. Lee Oksu reveals through his novel that the history of the resistance in the coal-mining town arose from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of the society under the logics of capitalism rather than it being matter of the individuals involved. This study puts its significance on validating the novel Sabuk, My Love, which is a novel for adolescents written as a means of literary action of manifold historical cogn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