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proposes strategies for elder abuse prevention and policy alternatives. To achieve the purposes, this study set up a cause and effect model through bibliographical review and interviewed 290 elderly people at the ages of over 65 who were attending a senior citizens center of G city with the use of a questionnaire. Policy alternativ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as elder abuse happens at home, social awareness to prevent it should be changed. Second, for emergent relief of the elderly who were abused and prevention of further elder abuse, senior citizen protection institutes’s activities should be facilitated. Third, society should be responsible for decrease in stress from elderly care. Fourth,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should be actively encouraged. Fifth, through a substantial elderly pension system, alternatives to remove dark corners in income support for the elderly should be developed. Sixth, protection measures for low-class elderly people should be also searched for.


본 연구는 고령사회의 노인 학대에 관한 연구로 노인 학대의 예방과 정책적 대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의 문헌연구를 통하여인과모형을 설정하여 G시의 경로당과 복지관 이용 65세 이상 노인 2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대한 정책적 대안으로 먼저, 대부분의 노인 학대는 가정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노인 학대 방지를 위한 사회적 인식 개선이 이루어져야한다. 둘째, 노인 학대 긴급 구조와 예방을 위해 현재 시·도별로 운영되고 있는 노인보호전문기관 등이 확대 운영되어야 한다. 셋째, 가정의 노인부양에 따른 스트레스를 경감시켜 주기 위한 사회적 책임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노인의 사회활동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추진되어야 한다. 다섯째, 노령 연금제도를 내실화하여 노후의 소득보장에 따른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여섯째, 취약계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기초생활수급 노인들에 대한 보호책의 마련도 이루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