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창세기 족장 내러티브는 원역사(창세기 1-11장)와 더불어 영산의 창세기 설교 분석에서 중요한 본문으로, 영산의 족장 내러티브 설교는 13-14장, 50장에 집중된다. 본 연구는 영산 조용기 목사의『조용기 목사 설교전집』20권과『창세기 강해』를 중심으로 영산의 창세기 12-50장 해석의 주요 특징을 분석하였다. 첫째, 영산의 창세기 12-50장 설교의 시작인 아브라함의 소명에 대한 설교에서는 거룩과 세속의 영역을 명확히 구분하는 영산의 이분법적 사유가 드러난다. 둘째, 아브라함과 롯이 분가하는 창세기 13장 설교에서 영산은 자신의 목회 사역의 핵심적인 영적 법칙인 ‘바라봄의 법칙’을 강조한다. 셋째, 멜기세덱에 대한 영산의 설교는 전통적인 모형론적 이해 가운데 멜기세덱 본문을 ‘성찬-십일조-하나님의 보증’이라는 논리적 도식으로 설명하며, 때로는 친유대주의적인 성향을 보인다. 넷째, 영산의 요셉 내러티브 설교는 이야기식 설교의 전형을 보여주면서 본문에 없는 내용을 창의적으로 간격 메우기(gap-filling)를 하며, 때로는 중요한 본문의 내용을 간과하거나, 지나치게 요셉의 삶에 대한 모범화의 경향을 보인다. 요셉 내러티브뿐만 아니라 영산의 족장 내러티브 설교는 전반적으로 본문에 없는 내용도 흥미롭게 각색하는 경향이 있지만, 오히려 본문으로부터 확실한 내용과 추측한 것을 구별하고, 확실하게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설교한다면 본문의 내용에 충실한 설교, 회중의 삶에 더 큰 영향력이 있는 설교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atriarchal narrative (Genesis 12-50) in the book of Genesis is crucial texts to analyze Youngson’s sermons on Genesis in line with the Primeval History (Genesis 1-11), and Youngsan’s sermons on the patriachal narrative concentrated on Genesis 13, 14, and 50. The present study uses Youngsn’s Sunday sermons on Genesis 12-50 and his commentary on the book of Genesis as primary sources and analyzes major characteristics of his interpretation on Genesis 12-50. First, Youngsan shows his dichotomous thought between the holy realm and secular world in his sermon on the calling of Abraham at the beginning of Genesis 12-50. Secondly, he emphasizes the principle of seeing, which is at the heart of his life-time ministry, in his sermon on Abraham’s separation with Lot in Genesis 13. Thirdly, Youngsan’s sermon on Melchizedek explains the Melchizedek text from the point of traditional typological approach and interpret the text with the framework of the Eucharist-Tithe-God’s Affirmation. Furthermore, he shows pro-Semitic position in his interpretation. Fourthly, Youngsan’s sermon on the Joseph narrative shows the typical features of narrative preaching, doing gap-filling for ambiguous or undescribed contents of the Genesis texts creatively by speculation or conjecture, overlooks the crucial contents of the texts occasionally, and shows the tendency of examplarizing Joseph’s life excessively. In addition to the Joseph narrative, Youngsan’s sermons on the patriarchal narrative tend to interpret creatively what the Genesis text does not describe explicitly. However, given that Youngsan pays attention to distinguish what he could know for sure from what he could only conjecture within the text, his sermon would be more text-oriented, powerful and influential in the context of congregational life. Yong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