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대화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의사소통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 응용 대화분석 연구의 방법과 절차에 대해서 논의하는 것이다. 대화분석적 의사소통 교육은 존중과 배려를 바탕으로 하는 상호 호혜적 의사소통 능력의 계발을 목표로 한다. 응용 대화분석 연구의 첫 번째 단계의 방법과 절차는 응용 대화분석 연구에 질적 연구 방법론을 도입하는 것이다. 질적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실제의 의사소통 현장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의사소통의 문제와 이상적인 의사소통의 요인 등을 실증적이고 기술적(descriptive)으로 밝혀낼 수 있다. 이러한 질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응용 대화분석의 두 번째 연구 단계에서는 특정한 대화 유형의 이상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구성하는 본질적 요인인 의사소통의 규범을 도출하고 이상적인 대화의진행과정과 구조를 나타내는 대화원형을 재구성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의사소통의 규범과 대화원형을 토대로 실제로 수행된 대화를 평가할 수 있는대화 수행 평가표를 개발한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실제로 수행된 대화를 대화원형이나 대화수행 평가표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평가하여 의사소통의 문제를 발견한다. 의사소통의 문제 발견을 토대로 개인별 피드백을 제공하는것이 대화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의사소통 교육의 방법과 절차를 구성하는다섯 번째 단계이다. 응용 대화분석 연구의 여섯 번째 단계에서는 의사소통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의사소통 교육의 효과에 대한 검증을 한다.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the method and proceed of the applied dialog analysis for the education of communication. A basic innovation of the applied dialog analysis suggested in this article is the introduction of the qualitative research to identify ideal communication which is essential for the education of communication. Tho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about communication experiences of the communication participants we can find objectively and systematically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ideal communication. On the basis of these elements we can establish the communicative norms, dialog pattern and instrument for evaluation of communication. By using those findings we can analyse and evaluate performed communications to identify the communicative problems. The identification of the communicative problems enables to give concrete feedback to the individual communication participants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communication. After the education of the communication composed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communicative problems and individual feedback we can examine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and education experience we can develop various education programs specialized for the individual groups of the education particip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