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의 배치 환경에 따른 특수교사의 교수설계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전국의 특수교사 1,179명을 대상으로 3개 영역(목표설정 및 내용구성, 모형과 환경구성 및 평가, 방법과 활동 및 성찰) 14개 항목으로 구성된 교수설계 활동 조사 연구도구를 통한 응답을 분석하였다.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의 교수설계 활동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그 차이, 실행 정도와 그 차이를 분석하였고, 교수설계 활동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교수설계 활동을 구성하는 하위영역의 잠재평균 및 개별측정문항의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중지표다중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교사는 ‘목표설정 및 내용구성’ 영역의 중요성을 높이 인식하였고, 두 집단 간 인식 차이는 없었다. 특수학급 교사들은 특수학교 교사보다 이 영역의 실행도는 낮았으나, 동일 수준의 영역 실행도를 가진 교사의 경우 ‘현행 수준 및 요구 사정’은 특수학급 교사가 높이 실천하고 있었다. 둘째, ‘모형과 환경구성 및 평가’는 다른 두 영역에 비해 교사들의 중요도와 실천도 인식이 낮았고, 특히 특수학급 교사는 특수학교 교사보다 이 영역과 소속 개별 문항(학생 평가 계획 수립)의 중요도와 실천도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셋째, ‘방법과 활동 및 성찰’의 집단 간 중요도 인식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실행도에서는 특수학급 교사가 낮게 나타났다. 반면, 개별문항인 ‘개별화된 지원 고려’와 ‘수업과정과 성과에 대한 성찰’은 특수학급 교사가 높게 나타났다. 결과에 따른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purpos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ctional design according to educational placement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We analyzed the 1,179 responses from special education teachers across the nation that was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that comprised of three domains and 14 items regarding instructional design.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s of instructional design perceiv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confi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differences were examined by using Multiple Indicators and Multiple Causes modeling. Further, teachers’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instructional design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domain of ‘setting a goal and composing contents’. However, special classroom teachers showed higher performance in the domain compared with the teachers in special schools. Second, teachers in special classrooms showed a lower performance in the domain of ‘assessment of students’ current level and needs’ than those in special schools. Third, the perceptions of the two groups are not differed in ‘instructional methods & activities, and reflections’ in terms of its importance. However, teachers in special classrooms reported lower performance than the others in that domain.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