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 한국사회는 진신사리의 ‘범람’이라고 할 만큼 동남아 여러 국가로부터 부처의 진신사리가 대량으로 유입되면서, 사리를 한 곳에 모아서 대중에게 공개하는 사리전문 박물관도 여럿 등장하였으며, 사리 전시회도 종종 열리고 있다. 이로서 전에는 특별한 기회에만 친견할 수 있었던 부처의 진신사리는 불자는 물론이고 일반대중에게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상이 되었다. 한국사회에서 부처의 진신사리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급증하고, 사리의 대량 수집과 전시가 일상화되는 현상은 진신사리에 대한 인식과 수용방식이 크게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와 함께 진신사리의 역할과 기능도 다변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불교에서 가장 귀중한 성물이자 불교의 물적문화에서 핵심을 구성하는 부처의 진신사리에 초점을 맞추면서 사리박물관과 사리 전시회를 사례로 동시대 한국사회에서 진신사리가 어떻게 유입, 수집되어 전시물로 재구성되며, 이와 동시에 상품화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In South Korean society large amounts of Buddha relic or śarīra have been flowing in from Southeast Asian nations. As a result several Buddha relic museums emerged that gathered Buddha relics in one place and show them to the public while śarīra exhibition is held now and then. In this way, Buddha relic which exposed itself only in special occasions in earlier days, has became an object of easy access to the public. The rapid increase in demand and supply of Buddha relic as well as the massive collection and exhibition of śarīra in Korean society indicate that the way how to perceive and approach Buddha relic is changing and consequently, the function of śarīra is diversified.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whole process - how Buddha relic of foreign origin is brought into the country and reframed as exhibit and turned into a commodity eventually, putting focus on Buddha relic, the most sacred object in Buddhism and at the same time the core of Buddhist material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