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대인외상경험과 자기체계손상이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대인외상경험이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체계손상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및 인천 소재 5개 대학교의 학생 7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640부 중 대인외상경험이 없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한 질문지를 제외한 510부를 선별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정,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대학생의 대인외상경험, 정서조절곤란 및 자기체계손상의 특정 하위 요인들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자기조절손상은 충동통제곤란과 목표지향수행의 어려움을, 주체적 자기손상은 정서자각부족, 정서비수용, 정서명료성부족, 정서조절전략제한을 설명하는 가장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체계손상은 대인외상경험과 정서조절곤란 간의 관계를 부분 또는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 and self-system traumatization on emotional dysregul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ystem traumatiz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 and emotional dysregulation of college students. 700 college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510 valid data was finally selected for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s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verage,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1.0.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 emotional dysregulation and subfactors of self-system traumatization according to gender. Second, self-regulation traumatization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difficulty of impulse control and difficulty of engaging in goal-directed behavior, and I-self traumatization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lack of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nonacceptance, lack of emotional clarity, and limitation on emotion control strategy. Third, self-system traumatization partially or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 and emotional dysreg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