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학연화대처용무합설>에서 연행되는 <고려처용가>는 서술자의 발화만으로 이루어지는 디제시스(diegesis)적인 노래이다. 그렇기 때문에 <고려처용가>에서 처용과 역신의 말은 서술자의 입을 빈 간접화법적 진술방식을 지닐 수밖에 없다. 이러한 형식의 <고려처용가>는 서술자가 처용을 향하여 이야기하는 서두 부분과 역신을 향해 이야기하는 나머지 서두 이후의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고려처용가>의 구성 단락은 각각 <학연화대처용무합설>의 춤과 노래에 대응된다. 서두 부분은 <봉황음>, <정과정>, <정읍> 등의 노래적 연행에 대응되어 역신이 침범했을 때 그리고 역신을 물리쳤을 때 어떠한 상황이 벌어지는가를 그린다. 그리고 서두 이후의 대목은 처용무에 대응되어 역신을 물리치는 처용의 모습과 역신이 침범했을 때 처용이 그를 물리치는 모습을 그린다. <고려처용가>의 또 다른 발화 상대는 그것을 듣는 청중이다. 이는 나례 또는 진연 형식을 통해 <고려처용가>를 향유한 군왕 또는 군왕 주변의 권력층이 역신의 침범을 받는 대상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처용가무를 배설한 왕이 처용의 처를 간범한 역신의 행위를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따라 <고려처용가>가 양재처용, 관처용, 처용희처럼 각기 다른 형태로 향유되었다.


<Korea Cheoyongga(고려처용가)> is a diegesis-style song only composed of the utterance of the narrator. For this reason the discourse of Cheoyong(처용) and Yuksin(역신) have the form of indirect-discourse uttered by narrator. It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beginning part of that the narrator speaks toward Cheoyong, and the second part of that the narrator speaks toward the Yuksin(역신). These two part of the <Koryeo Cheoyongga> corresponds to the song of <Hakyunhwadae-cheoyongmoo-hapseul(학연화대처용무합설)> and Cheoyongmoo(처용무) each other. Those songs as <Bonghwangeum(봉황음)>, <Jeonggwajeong(정과정)>, <Jeongeupsa(정읍사), <Bookjeon(북전)> which respond to the beginning part depicts the situations that Yuksin(역신) is attacking, and the situation that Yuksin(역신) is defeated. And the Cheoyongmoo(처용무) which responds to the second part depicts the shape of Cheoyong(처용) who defeating the Yuksin(역신). Another listener of narrator is the audiences who listen <Korea Cheyongga>. This means that the king who enjoyed <Koryeo Cheoyongga> is the target of Yuksin(역신). According to how the King accepts the act of Yuksin who raped Chejong's wife, the <Korea Cheoyongga(고려처용가)> had enjoyed in different forms such as Yangjae-cheyong(양재처용), Kwan-cheoyong(관처용), Cheoyong-hee(처용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