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영성에 대한 개념정의와 의미에 대한 물음이 지난해진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미셸 푸코에 의해 개진된 자기 배려와 실존의 미학은 영성에 대한 깊은 통찰을 주기에 충분하다. 푸코는 자기 배려라는 새로운 양태의 자기 구성 원리를 제공함으로써 영성 및 영성훈련에 대한 구조적인 해부학을 보여주었고 나아가서 스스로 구성하는 자기에 대한 희망적 원리를 제공하였다. 동시에 근대적 주체로부터 탈주할 수 있는 자율적 자아의 가능성을 드러냈다. 비록 푸코는 자기 배려의 원천을 고대 그리스적 전통에서 찾고 있지만 그리스도교 전통 속에 있는 영성신학 혹은 영성훈련 역시 일종의 자기 배려의 방식 중의 하나이다. 그리스도교는 오랫동안 영적인 성장과 자기 구성에 대하여 정치한 신학을 발전시켜왔고 이 신학은 20세기 초 영성신학이라는 모습으로 현시되었다. 유사하게 평암 이계학의 인격교육 역시 동양의 전통에 기반을 둔 자기 배려의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푸코의 자기 배려에 대하여 이해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자기 배려를 이해하면서 이를 전통적인 영성신학과 평암 이계학의 인격교육론의 시각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은 이 논문의 부수적 효과라고 할 수 있다. 자기 배려를 영성 및 인격교육론을 통해 이해하려는 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삶과 교육은 이론적이거나 지적인 유산을 계승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 훈련을 포괄한다는 것이다. 둘째 자기 배려, 영성신학 및 인격교육론은 실천의 목적성과 완성 혹은 완전을 위한 단계를 가진다는 것이며 셋째 이들 모두 정교하거나 혹은 거칠거나 수행법을 제공하거나 암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Since Michel Foucault has developed his notion of the care of the self, called the aesthetics of existence, he has given insight to scholars such as theologians. Provided with the creative mode of the formation of self, Foucault has demonstrated structural autopsy of spirituality and spiritual discipline. Furthermore, by doing so, he has shown the possibility of an ethical autonomous self which enabled the self to escape from the modern subjectivity, that is, Cartesian rational subjectivity. Even though it is different from Foucault’s theory of the care of the self in detail, Christianity has developed its own economy of the principles of self formation in terms of spiritual disciplines. The fruits of these endeavors have also emerged in the name of spiritual theology in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ies. Similarly, based on Asian traditions, Dr. Keay-Hark Lee has alluded that saramdaum education was a type of discipline of self formation. In this paper, Foucault’s concept of the care of the self is examined in comparison both with the Christian spiritual discipline and with the saramdaum education. These three have several commonalities in that, first, they embrace bodily cultivation in philosophy. Second, these theories have shared some hierarchical steps of the soul during the evolution of self. Last, these three commonly developed the principles of self cultivation,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the unremitting subjecti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