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정책적으로 ‘생활문화’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정부 주도로 전국에건립되고 있는 생활문화센터는 생활문화의 거점 역할을 하고 있지만 운영비 부족 등 분명한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관 주도로 생겨나는 생활문화 거점 공간 외에도 민간의 생활문화 공간의 발견을 통해 생활문화를 지속적으로 확산시켜나가고 있는 인천문화재단의 ‘동네방네 아지트’사업을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사업에 선정된 공간을 중심으로 새로운 동아리들이 문화자본적 활동과 사회자본적 활동을 왕성하게 진행하며, 생활권 내에서 문화활동을 해나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민간 문화공간을 지원하고 연계함으로써, 향후 공간 지원뿐만 아니라 문화예술 정책의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례는 이후 인천광역시 생활예술 전반에 걸친 정책 수립과 사업 진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Recently, ‘living culture’ has attracted attention. Especially, the life culture center established in the whole country by the government plays a role of the base of living culture, but there is a clear limit such as the support of the operating expenses. This study focuses on the ‘Dongne Bangne Azit’ program of Incheon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which is continuing to spread the life culture through the discovery of the private life culture space in addition to the living culture base space created by the governmen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new clubs of selected space in this project, actively carry out cultural capital activities and cultural activities in the living zone. In addition, supporting and linking the private cultural space, it is expected that will be able to give a role as a partner of cultural arts policy as well as space support in the future. The case presented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and business throughout the life arts of Incheon Metropolitan 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