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기독교 휴머니즘에 대한 규명을 지향하면서 직접적으로는 에라스무스에 대한 전기적 연구이다. 에라스무스의 교육관과도 깊이 연계된 기독교 휴머니즘에 대한 규명은 르네상스를 변화보다 연속성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으로 역사교육 현장의 교과내용학을 제공한다. 휴머니스트로서의 에라스무스의 위치는 확고하다는 전제하에 이 논문에서는 에라스무스의 삶과 작품들에 기독교적 삶의 양식이 어떻게 표출되어 있는가를 주로 살핀다. Ⅱ장에서는 에라스무스가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결정적 시기인 1501년부터 1505년 사이의 활동을 살피면서 『엔키리디온』을 분석한다. 이 책은 아 켐피스의 『그리스도를 본받아』에 영향 받은 것이며, 그 안에는 ‘그리스도 철학’의 이념이 고스란히 녹아있다. Ⅲ장에서는 에라스무스에게 중세적 경건주의가 미친 영향을 살핀다. 에라스무스는 공동생활 형제단이 세운 학교 출신으로 그의 초기 교육은 ‘근대의 경건’ 운동과 깊이 연계되어 있다. Ⅳ장에서는 여러 문학형식들의 장르적 특징을 검토하면서 경건주의적 진지함과 에라스무스의 풍자적 문체가 양립할 수 있음을 기술한다. Ⅴ장에서는 『우신예찬』을 다루면서 알레고리가 중세적 유희양식임을 확인하고 알레고리의 성격과 역할에 대해 검토한다. Ⅵ장에서는 에라스무스의 교육이념이 고전적 개념인 후마니타스와 기독교적 개념인 피에타스를 중심으로 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에라스무스에게 기독교는 선택의 대상이 아니라 실존의 전제조건이었다. 또한 에라스무스는 어떠한 파벌에도 속하려 하지 않았고 분쟁을 피하였다. 근대적 휴머니즘과도 공유되는 확고한 자아인식과 평화애호도 기독교 휴머니즘의 기본적 구성요소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aims at verifying Christian Humanism, in the course of examination on Erasmus. With the assumption that Erasmus’ position as humanist has been already confirmed, I focus on the medieval origin of Christian Humanism by inspecting how pietism was displayed in Erasmus’s life and works. In section Ⅱ, I analyze Erasmus’ early writing Enchiridion carefully in the course of studying on his activity from 1501 to 1505, which were crucial years for consolidating his own identity. Following a Kempis’ Imitation of Christ, Enchiridion is portraying Christian Philosophy. In section Ⅲ, I analyze how pietism has impacted on Erasmus’s early life. Fostered at Deventer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Brethren of the Common Life, Erasmus was deeply effected by the movement of Devotio Moderna. In section Ⅳ, study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literature genres, I go over on how seriousness of pietism and Erasmus’ sarcastic style of writing can coexist, and I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llegory. In section Ⅴ, while studying on Moriae Encomium, I confirm that allegory is a unique style of writing which has medieval origin, and I examine the role of allegory in the light of Johan Huizinga’s concept of Homo Ludens. In section Ⅵ, I confirm that the classical ancient’s idea of humanitas and the Christian idea of pietas are two main concept of Erasmus’s educational idea. In case of Erasmus, Christianity was not matter of choice, rather it was condition of existence, living environment and air to breath. Erasmus considered the independence of his inner senses as an honor, and did not join any partisan group. This definite self-cognition maybe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Human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