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대 초반의 청년들이 겪고 있는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행동억제기질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사회불안에 미치는 변인으로 가정하고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 정서조절곤란의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20∼25세 남녀 399명을 대상으로 행동억제기질, 부모의 심리적 통제, 정서조절곤란, 부정적 자동적 사고, 사회불안에 대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변인들의 관계를 상관분석을 통해 검토하였고,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간접효과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동억제기질은 사회불안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으며, 부정적 자동적 사고를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사회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부정적 자동적 사고를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동억제기질,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 부정적 자동적 사고가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behavioral inhibition and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on social anxiety, by considering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emotional dysregulation as mediating variables; the study’s purpose is to examine various variables affecting social anxiety experienced by young people in Korean society.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on behavioral inhibition,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negative automatic thoughts, emotional dysregulation, social anxiety were administered to 399 adults throughout in the whole country.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structural mode analysis used SPSS 21.0, AMOS 21.0.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In addition,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examine the indirect effects. The major results are follows. First,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ndirectly impacted behavioral inhibition and social anxiety. Second, negative automatic thought indirectly affected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anxiety. Third, a multiple indirect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between behavior inhibition and social anxiety was significant. Fourth, a multiple indirect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 between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anxiety was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som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s well as future study di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