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칸트「영구평화론」을 정치철학의 관점, 그리고 역사철학의 관점에 이은 세 번째 연구이다. 칸트 영구평화를 도덕철학의 관점에서 조망해 보아야 하는 이유는 정치철학이나 역사철학의 관점에서의 영구평화가 결국은 그 두 연구의 기저에 도덕철학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칸트 도덕철학의 관점에서 영구평화 논의가 도덕교육에서 지니는 궁극적 함의를 필자는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첫째, 영구평화 논의 기저에는 도덕적 주체인 이성적 자유의지를 지닌 인간은 존엄성을 지닌 존재이고, 그 존엄성은 지켜져야 한다. 둘째, 영구평화는 그러한 인간의 존엄성 실현을 위한 도덕성 실현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문제이다. 셋째, 영구평화는 이러한 도덕성이 실현되기 위한 정치・사회적 환경과 그 조건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영구평화가 하나의 당위로서 제시된다.


This paper is the third study following Kant’s ‘Perpetual Peace’ from the viewpoint of political philosophy and the viewpoint of history philosophy. The reason why Kant’s perpetual peace should be viewed from the viewpoint of moral philosophy is that the permanent peace from the viewpoint of political philosophy or history philosophy is eventually based on moral philosophy. From the viewpoint of Kant’s moral philosophy, I summarize the ultimate meaning of perpetual peace debate as follows. First, at the base of the permanent peace debate, human beings with rational free will, which is a moral subject, are dignity and their dignity should be kept. Second, perpetual peace is a matter directly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morality for the realization of such human dignity. Third, it is my opinion that perpetual peace is presented as a righteousness in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political and social environment and conditions for realizing this mor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