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15년 개정 도덕과교육과정에는 ‘도덕함’이라는 생소한 단어가 도덕과의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를 규정하는 핵심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2015년 개정 도덕과교육과정이 이미 고시되었지만, 본 논문은 ‘도덕함’에 대한 문제제기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판단하고, 몇 가지 의문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첫째, ‘도덕함’의 도입 과정에서 충분한 논의와 협의가 있었는가에 대한 의문, 둘째, ‘도덕함’의 이론적 근거가 명확한가에 대한 의문, 셋째, ‘도덕함’의 개념적 독자성이 있는가에 대한 의문, 넷째, ‘도덕함’이 꼭 필요하고 유용한 개념인가에 대한 의문을 제시한다. 이러한 의문이 2015년 개정 도덕과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re is an unfamiliar word, ‘doing moral’, which prescribes the identity, goal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of moral subject education, within 2015 Revision of Moral Subject Education Curriculum. While it was already declared, to ask some questions about ‘doing moral’ is still meaningful. To put them concretely, first, is there enough discussions and satisfactory consensus on induction into and use of ‘doing moral’ within 2015 Revision of Moral Subject Education Curriculum?, second, is clear and sound the theoretical ground of ‘doing moral’?, third, has ‘doing moral’ the conceptual autonomy and independency?, last, is a necessary and useful concept ‘doing moral’? This paper hopes that those questions would present the base for re-revision of 2015 Revision of Moral Subject Education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