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아세안의 형성과 발전과정을 통하여 아세안공동체 발족이 갖는 정치 경제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한국교회의 선교 가능성을 타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아세안과 함께 동아시아 공동체 구상을 이끌고 있는 중국의 성장을 통해 한국교회가 추진할 동아시아 선교 방향을 진단하고자 한다. 중국의 시진핑 주석이 추진하는 AIIB(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아시아 인프라 투자은행) 출범과 ‘일대일로(一帶一路, One Belt One Road)’ 프로젝트는 중국 주도의 세계화를 위한 포석이다. 세계 제1의 경제-군사 대국을 꿈꾸는 중국은 동남아시아국가연합인 아세안과 한국, 일본 등을 파트너로 동아시아 공동체를 창설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서구 중심의 세계화에서 아직까지 한 번도 시험하지 않은 중국의 도전이기도 하다. 특히 10개 나라가 하나로 묶이는 아세안공동체가 가져올 선교지형의 변화는 한국교회가 주목할 부분이다. 매년 5%의 이상의 경제성장률을 보이는 아세안 국가들은 개별적으로 볼 때는 미약하지만 연합체를 구성할 때 파급력은 상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아세안 국가들은 한국교회 선교사의 상당수가 포진되어 있다는 점에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앞으로 아세안에 속한 10개 나라가 무비자로 이동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세안 선교사’라는 통합적인 개념을 적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이와 함께 과거 폐쇄적이던 국가들이 경제성장을 목표로 문을 열어 가고 있다는 사실은 고무적이다. 아세안의 젊은 동력은 노화되는 기독교에도 새로운 활력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가능하다. 반면 2018년 2월부터 중국 종교사무조례가 새롭게 강화되면서 사실상 문화혁명 당시와 같은 추운 겨울이 중국교회에 닥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단속과 통제는 중국의 개방과 발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서구문화의 확산, 기독교의 부흥을 경계하는 우려의 일부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관점을 바꾼다면 중국이 추진하는 경제 개발 정책과 세계를 무대로 하는 대규모 구상은 복음이 들어갈 수 있는 새로운 통로라 할 수 있다. 물론 당장은 중국교회와 중국을 무대로 선교의 꿈을 펼치는 여러 나라, 그중에 한국교회에 어려움이 닥칠 수 있다. 하지만 복음의 서진을 목적으로 ‘선교중국’의 꿈을 펼치고 있는 중국교회가 ‘일대일로’ 프로젝트로 새롭게 열릴 실크로드를 타고 서진할 수 있다는 가정 아래 중국의 변화를 세계 기독교가 주의 깊게 바라보아야 한다. 새로운 길이 열릴 때 새로운 선교도 시작된다. 아세안을 통한 선교, 그리고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와 금융대로를 뚫는 새로운 시대적 기회를 한국교회가 놓쳐서는 안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litical economy of ASEAN community through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ASEAN which is emerging recently. Through this analysis, we will sound out the possibility of missionary work in the Korean Church. In addition, I would like to diagnose the direction of Korean churches going through China through the growth of China, which is leading the East Asian Community Initiative with ASEAN. The 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AIIB) and the "One Belt One Road" project are the globalization of China pursued by Mr. Xi Jinping. China, which dreams of becoming the world's largest economy-military power, is trying to create an East Asian community with partners such as ASEAN, South Korea and Japan. It is also a challenge for China, which has not yet been tested in the westernized globalization. This study examines what kind of opportunities the East Asian community, which will be strengthened by economic development, is in the Christian mission field. In particular, we have sought the strategies of ASEAN national missions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e mission topography brought by the ASEAN community which is tied to one of 10 countries. The ASEAN nations need much more research in that many of the missionaries are Korean. It is encouraging that countries that have been closed in the past are opening their doors to economic growth. The young power of ASEAN seems to be a new vitality for aging Christianity. On the other hand, as the regulations on religious affairs in China are strengthened in February 2018, it is expected that the cold winter as in the cultural revolution will actually come to the Chinese church. However, such crackdowns and controls may be part of the concern over the proliferation of Western culture and the revival of Christianity in the process of China's opening and development. But if we change our perspective, China's economic development policy and the concept can be a new way for the gospel to enter the world. Of course, right now, there are many countries that have dreams of mission with Chinese churches and China. Among them, Korean churches may have difficulties. However, the world Christianity should look carefully at the changes in China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Chinese Church, which is dreaming of 'mission China', can make a steady stream on the newly opened Silk Road with the 'One Belt One Road' project. When a new road opens, a new mission begins. The Korean church should not miss the opportunity for new era through the ASEAN mission and the Chinese One Belt One Road project and ba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