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글의 목적은 후설의 윤리학적 관점에서 실러의 『미학편지』를 새롭게 분석해보는 데 있다. 윤리문제와 관계를 맺는 실러의 『미학편지』에서 드러난논의는 후설의 윤리이론과 많은 점에서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실제로 실러의 논의가 후설의 현상학적 윤리의 선구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있다. 논문은 이를 논증하기 위해 실러와 후설의 다섯 가지 거시적 공통점을 우선적으로 밝힌다. 그 다음으로 후설의 생애의 윤리기획들이 실러의 『미학편지』 전개방식과 유사하다는 사실을 선보일 것이며, 끝으로 본 글은 실러의 『미학편지』가 후설의 현상학적 윤리를 통해서 볼 때, 다음의 다섯 가지 의미(첫째, 이성과 감정의 조화를 중시, 둘째, 인격적 자기 수양을 강조, 셋째, 변화에 대한 긍정적 태도, 넷째, 참된 교육을 지향, 다섯째, 보편성을 희구)를 내세운다는 사실을 논설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stablish a proper interpretation for reading Friedrich Schiller’s 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which, I insist, can only be understood fully with Husserl’s phenomenological ethics. That Schiller’s theory of the aesthetic education is intertwined with moral problems indicates Schiller’s argument is similar to Husserl’s. In this point, his theory could be considered to be a forerunner of the phenomenology of ethics. To prove this argument, the paper attempts to examine what Husserl’s phenomenological ethics shows in Schiller’s writings. To this end, the thesis will present the five macroscopic common points between Schiller and Husserl. By virtue of these common points, I will discuss the similarity of ethical claims between Schiller and Husserl. Finally, the paper will reveal that true meaning of the claim in Schiller’s writings is identified in five ways connected with Husserl’s phenomenological eth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