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성인애착의 차원(불안애착 차원, 회피애착 차원)에 따른 대인관계문제(사람들에게 향함, 사람들에게서 멀어짐) 사이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일반인 20대부터 50대 중 441명(남자 218명, 여자 223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고, 측정도구로는 친밀 관계 경험 개정판(ECR-R),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 한국판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EQ-K), 한국판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 단축형(KIIP-SC)을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분석(SEM)을 통한 결과, 불안애착 차원과 사람들에게 향함의 관계를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이중 매개한다고 검증하였다. 또한 회피애착 차원과 사람들에게서 멀어짐의 관계를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순차적으로 매개한다는 모형이 지지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on interpersonal problems with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s mediating variables. For this purpose, a sample of 441 adults aged between 20 and 50 years(218 men and 223 women) were asked to complete the Multi-item Measure of Adult Romantic Attachment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Revised(ECR-R), Internalized Shame scale(I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AEQ), short form of the Korea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s(KIIP-SC) online. First,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anxiety attachment and moving toward people(dependent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the results of the association between avoidance attachment and moving away from people(independent interpersonal problems),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s well a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