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장기 20세기’ 농업문제의 세계적 파장을 둘러싼 오늘날의 여러 연구상 쟁점들로부터 사회주의 정치 기획의 ‘권역주의적 창신’ 가능성을 탐색해, 이에 필요한 재이론화 작업의 요점을 잡고자 한다. 크게 세 가지다. ① 20세기 한반도-동아시아 권역 일대에서 불거진 농업/먹거리 위기 관련 현안과 결부됐던사회주의적 대항정치 기획 전반은, 역사적 식민자본주의 체계 발전의 내적 모순들 및 그 정치지리적 차등화 궤적에 새겨진 ‘변경들의 식민화’ 효과로부터 생성된 것이었다는 점, ② 역사적 사회주의(내지 서구 마르크스주의) 정치 기획속의 ‘타자’들이 지금껏 겪고 있을 진퇴양난과 곡절의 경험을 오늘날 어떻게 새삼 재정치화, 재역사화할 것이냐는 점, ③ 일국사회주의 구상의 이론적 정당화가 다다른 정치적 난파 지점들은, 특정 집권/운동세력의 의지와 조직화된 역량문제이기에 앞서 ‘인민주권 형식’ 자체의 문제로, 영토국가적 국민됨의 실천형식 전반이 오늘날 마주한 내적 곤경들 및 사실상의 내파 상황과 깊이 연루된 것이라는 점이다. 이로부터 필요한 건, 예컨대 ‘자본주의 4.0’ 같은 체계내적 해법일 수 없다. 다각화된 포스트자본주의적 사회주의 정치 기획이 두루 창신되기는커녕 민주자본주의의 대증적 개혁 처방만 학술장 안팎으로 부풀려지는 저간의 상황이야말로 얼마나 불합리한지 새삼 질문해볼 필요가 있다. 사회주의적 대항민주주의기획이 거듭 창신된 버전으로, 권역주의적인 입지에서 재생돼야 하는 이유는, 실로 가공할 다중양극화와 나란히 유기적 구성의 기술적 고도화가 자본축적의지속 자체를 무효화하려는 오늘날 되레 무궁무진하겠다는 점에서 그렇다.


This paper inquires into the potentials for a ‘regionalistic transformation’ within socialist politics perspectives, catching the concomitant point of retheorization for this inquiry. The point comprises roughly three dimensions: 1) The emergence of socialist resistant politics concerning agrarian-food crises around East-asian region throughout the 20th century generally resulted from ‘colonization of borders’ effects inscribed in immanent contradictions and geopolitical differentiation trajectories of historical colonial-capitalist development, 2) How adversities and dilemmas which has been experienced by ‘others’ in the praxis framework of historical socialist(or, Western Marxist) politics should be repoliticized and rehistoricized freshly today, 3) The wrecked points encountered by the theoretical and ideological justification for state-socialist projection are involved with the problems of the ‘people’s sovereign form’ itself much rather than those concerning the will and organized capability of some ruling forces or leading movements, having been deeply involved with impasses and de facto implosive contexts the generic territorial state-oriented practice of nationhood is today reaching at the same time. The alternative from this reflexion can not be a intra-systemic solution like ‘Capitalism 4.0’, for example. We should question what an irrational situation it is that allopathy reformist prescriptions in the existing democratic capitalism have been bloated within and beyond academic fields, far from fixing left politics toward multiple postcapitalist socialism. Because the reasons socialist practices of democracy and concomitant theorizations should be continually renewaled fromnow on in the horizon of regionalist perspective are today ever inexhaustible, given that really horrible global multiple polarizations coinciding with the technological acceleration of organic composition might be nullifying the durative competence in planetary accumulation of capital.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 , , , , , , , , ,

long 20th century, agrarian question(s), underdevelopment effects, colonization of boders, world-hegemony, coloniality, colonial governmentality, national developmentalism, soveriegn form, historical socialistic politics projects, regionalistic trans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