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울장애를 선별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선별도구를 개발하는 것은 잠재적인 위험군이나 발병 초기단계 있는 사람에게 최적의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가장 첫 번째 과제이다. 이는 현대 정신건강 정책이 정신질환의 예방과 조기개입을 강조하는 흐름과도 일치한다. 현재까지 우울장애를 선별하는 다수의 도구들이 개발되어 왔으나, 해외 저작권 지불의 문제를 해결하고, 우울의 하위영역은 물론 자살위험과 조증, 불안 및 신체증상을 포괄하며, 국가 연구 프로젝트와 병원 및 다양한 임상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간결한 형태의 한국형 우울장애 선별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과제로 남아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개발된 우울장애 선별도구를 체계적으로 개관하여 각 선별도구의 강점과약점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새롭게 개발할 한국형 우울장애 선별도구(Korean Screening Tool for Depressive Disorders, K-DEP) 의 이론적 기초를 요약하였다. 임상심리, 정신의학, 심리측정 전문가 그룹으로 구성된 다학제 연구팀과 전문가 자문위원회와 함께 한국형우울장애 선별도구를 개발하는 과정을 요약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개발된 총 383문항의 예비 문항을 소개하고, 153명의 참여자에게 실시한 예비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으로 실시될 한국형 우울장애 선별도구 개발 프로젝트의 차기 단계 과정과 고려사항들을논의하였다.


Developing a reliable and valid screening tool of depressive disorders is crucial to providing appropriate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s to potentially at-risk patients in the early stages. This viewpoint is similar to the new mental health paradigm initiated by the Ministry for Health & Welfare Affairs. Despite the existence of numerous screening tools for depressive disorders, the research group concluded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new, valid depressive disorders screening tool that concisely and reliably measures key sub-domains of depressive disorders—suicidal risks, mania, anxiety, and somatic symptoms. As a preliminary step to pursuing this goal, we first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existing screening tools for depressive disorders, thoroughly analyzed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each tool, and summarized the theoretical found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w Korean screening tool for depressive disorders (K-DEP). Second, the research group introduced procedures for developing preliminary item pools for the K-DEP (a total of 383 items), administered it to 153 non-psychiatric patients, and summarized the results. Finally, we discussed the directions for the next steps in developing the K-D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