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구술사 접근양식을 활용하여 그간 교육사에서 거의 주목받지 못한 졸정제의 전개과정(1981∼1987년)을 재조명하였다. 졸정제와 관련된 문헌 및 구술기록들 간의 서로 다른 기억(기록)들은 졸정제와 관련된 당시 행위자들의 특정 위치 및 역할에 따른 각각의 인식과 경험의 차이를 반영한다. 이러한 구술 및 기억의 차이를 통해 졸정제의 전개과정을 보다 다각적이고 역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애초에 졸정제는 1970년대 중반 이후 고등교육의 대중화 및 질 제고를 동시에 추구하기 위한 정책지향에서 구상되었으나, 신군부의 7.30 조치로 강행된 졸정제는 입학기회 확대에 주안을 두고 교육의 여건 및 질 보장 측면은 등한시하였다. 졸정제를 통해 대학 입학기회가 파격적으로 확대되었으나, 이에 따른 교육의 질 관리 방침은 졸업정원 유지를 위한 강제탈락률 조치로 한정되었고 실제로 구현되지도 못했다. 졸정제 방안 자체의 문제점에서 비롯된 대학의 반발, 전문가 집단의 정책비판 및 사회적 논란, 학생들의 선택적 행위(휴학)에 의한 강제탈락 조치의 무력화 등에 의해 졸정제는 도입 초기부터 제도적 변형을 거쳐 조기에 폐지되었다. 졸정제 시행을 계기로 1980년대 이후 한국 고등교육은 질적 여건을 확충하지 못한 채 양적 팽창 측면에 치우쳐 발달하게 되었다. 이 점에서 졸정제는 1980년대 이후 한국 고등교육의 대중화, 보편화 단계로 이행한 과정 및 그 특징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구체적 단면을 보여주는 교육 정책사의 한 사례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new light on the history of the University Graduation Quota Policy (the “Policy”), which lasted from 1981 to 1987 and is recognized as a policy that has been forgotten, by using the oral history methodology. The Policy was planned with the aim of seeking both popularization and quality enhancement of the higher education simultaneously after the mid-70s. Meanwhile, the Policy, initiated under the July 30th Education Reform Plan in 1980 by the Military Regime, solely focused on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to enter universities, while making little effort to improve conditions and quality of the higher education. From the beginning of its adoption, the Policy was continuously transformed and consequently abolished due to (i) inherent problems of the implementation plans of the Policy; (ii) opposition of the universities which faced difficulties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in practice; (iii) criticism on the Policy by education expert groups and social controversy over the Policy; and (iv) the forced disqualification measures in name only caused by students’ selective acts (leave of absence). Although the Policy was originally designed to pursue both the quantitative expansion and the quality enhancement of the higher education simultaneously, the latter was limited due to the forced academic administration measures for maintaining the graduation quota, and the Policy failed to be realized institutionally. As a result,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failed to assure better conditions for the higher education and only led to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higher education. Therefore, it is deemed that the Policy is a detailed example that shows the process of popularization and generalization of the Korean higher education during 1980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