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배제를 지각한 기부자들이 어떤 기부유형을 선호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자들은 기부유형을 금전기부와 시간기부로 구분하고, 일반적인 통제 상황의 기부자들과사회적 배제를 지각한 기부자들 간에 선호하는 기부유형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기부유형 간 선호도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에 대한 기부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배제를 지각한 기부자들은 시간기부를 더 선호하였으며, 일반적인 통제 상황의 기부자들은 금전기부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선호기제로 사회적 배제 상황에서는 사회적 연결성이 기부의도 메커니즘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 상황에서는 인상관리가 기부의도 메커니즘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부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보면, 기부자들은 심리적 비용 때문에 시간보다 금전 기부를 더 선호하는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하지만 기부자들은 금전기부보다 시간기부를 통해 자기효능감, 자아성찰, 행복감, 그리고심리적 웰빙과 같은 궁극적인 혜택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기부문화 정착을 위해서는기부자와 수혜자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기부수단이 요구되는데, 그 수단 중 하나가 바로 시간기부가될 수 있음을 제시해본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지속적인 기부문화 확립을 위해 시간기부를 독려하기 위한 기부전략이 요구됨을 제시하였고, 나아가 사회적 배제를 지각한 기부자와 일반 기부자를 대상으로 한 차별적인 기부메시지가 필요함을확인해볼 수 있었다. 또한, 고령화와 같은 사회문제의 해결책으로 기부를 접목시켜 살펴봤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focused on what type of donation would be preferred by donors who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Specifically, this study classified donation types as monetary donations and time donations, and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ype of donation preferred between donors with general control and donors who perceived as social exclusion, and we confirmed the donation mechanism for the reason for difference in preference between donation types. As a result, donors perceived social exclusion preferred time donations, and donors with general control preferred money donations. Specifically this preference mechanism showed that social connectedness works as a donation intention mechanism in the social exclusion situation, and in the control situation, the self-image works as the donation intention mechanism. Particularly, in donation studies, donors have been found to prefer money donations over time because of psychological costs. However, donors can get the ultimate benefits such as self-efficacy, self-reflection, happiness, and well-being through time donations rather than money donations.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a sustainable donation culture rather than a one-time don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donation means for both the donor and the beneficiary, and one of the mean is time donation.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a donation strategy is needed to encourage time donations for establishing a sustainable donation culture,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a different donation message is needed for donors and general donors perceived as a social exclusion. In addition we can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 from the fact that we can apply donation as a solution to social problems such as a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