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다독 활동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독 활동의 효과를 검증한 11편의 관련 연구에서 26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독 활동의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559) 둘째, 다독 활동은 읽기 속도 향상에 가장 효과적이며(.663) 다음으로 어휘력 향상(.540), 독해력 향상(.485) 순으로 효과적이라고 분석되었다. 셋째, 학습자 언어권, 숙달도, 학습 목적, 학급 인원수, 다독 활동 기간을 조절변인으로 상정하고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숙달도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나타났는데, 숙달도가 낮을수록 다독 활동의 효과크기가 더 컸다(초급: 1.155, 중급: .549, 고급: .269). 그리고 각각의 연구 결과에 대해 자세히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extensive read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atically. To this end,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by calculating 26 effect sizes in 11 related studies that verified the effect of extensive reading.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extensive reading transpired to be medium (.559). Second, extensive reading was most effective in improving reading speed (.663), followed by vocabulary (.540), and reading comprehension (.485). Third, learners’ language group, proficiency, learning purpose, their number in class, and period of extensive reading were set as moderator variables,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analyzed accordingly. Consequently, profici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effect size of extensive reading was higher when proficiency was lower (Beginner: 1.155, Intermediate: .549, Advanced: .269). Detailed findings and pedagogical suggestions a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