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의 목적은 선진 독서교육 이론의 수용 양상과 독서교육 연구의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80년대 말 이후 현재까지 독서교육과 관련하여 어떤 것들을 들여왔는지 살펴본 다음, 우리 실정에 맞게 독서교육을 더 발전시킬 수 있는 연구 방향을 살펴보았다. 초창기 90년대에는 독자와 텍스트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이 도입되면서 우리 독서교육학이 정체성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2000년대의 첫 10년 동안에는 독서가 일어나는 실제적이고 사회적인 맥락에 주목하는 연구들이 다수 수행되면서 연구의 외연이 크게 팽창되었다. 2010년대에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나 이론이 보이지 않는 대신 다양성과 전문성을 지향함으로써 이전 연구 경향을 넓히고 심화하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우리 독서교육학이 더욱 성숙하기 위해서는 들여온 것들을 발전적으로 계승해야 할 뿐 아니라 우리 실정에 맞게 변형하고 토착화하는 연구도 수행해야 한다. 나아가 그동안 눈길을 주지 못했던 전통적인 독서법이나 독서론을 되살려 활용하는 작업도 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빼놓을 수 없는 것은, 독서의 본질을 천착하는 일이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연구의 외연 확장이 한계에 달해서 본질로 돌아가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독서의 존재론적이고 가치론적인 본질을 건드리는 연구여야 독서교육을 정상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spects of importing theories and directions of development in korean reading education. Researches on korean reading education was started by means of importing theories of foreign reading education which focused on reader and text during the decade of 1990’s. During the first decade of 2000’s, research topics of korean reading education were expanded because researchers paid attention to contexts of authentic reading. And during the decade of 2010’s, although we could not find any new paradigm, there were various researches that pursued speciality and diversity. We have to uphold and transform the imported foreign reading education theories in order to develop korean reading education. On the other hand, we have to revive and utilize the traditional reading methods. And the most important things we have to do is exploring the intrinsic nature of reading. If we don’t know the intrinsic nature of reading, we can’t accomplish the preferable reading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