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syntactic structure of utterances is sometimes ambiguous, so one sentence can actually have more than one meaning. Nonetheless, the listener correctly understands the speaker’s intentions when listening to the speaker. To resolve this ambiguity,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use prosodic features such as deliberately breaking between words and words, or assigning a certain degree of intensity to the critical word. Since prosody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versation,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sodic cues and the syntactic structure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understand cognitive processes of human speech.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prosodic cues accurately conveyed the proper meaning of the sentences that are syntactically ambiguous. We also investigate whether different cues are used in order to remove the syntactic ambiguity between native English speakers and Korean learners of English. In particular, we examined how the prosodic element removes the ambiguity in the sentence while controlling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sentences. Also,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English proficiency of Korean L2 learners and the disambiguation accuracy in perception. The result showed that both speaker groups used both cues in disambiguating sentences, but their use of cues patterned differently. In terms of perception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English proficiency and disambiguiation showed a statistically insignificant correlation. The current study has found that both native and L2 speakers were able to use acoustic cues in disambiguating sentences, and leave an open question for further study.


발화의 통사적인 구조는 때때로 모호한 구조를 띄고 있어서 하나의 문장이 실제로 하나 이상의 의미를 가지게 될 때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자는 발화를 들을 때 일반적으로 화자가 의도하는 바를 정확하게이해한다. 이런 모호성 해소를 위해 화자와 청자는 운율적인 요소들, 예를 들어 단어와 단어 사이를 의도적으로 끊어서 읽거나 일정한 단어에두드러지는 강세를 부여하는 등의 운율적인 요소들을 사용함으로서, 분절음적인 요소들을 바꾸지 않고도 자신의 의도한 바를 전달한다. 이와 같이운율은 대화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운율적인 요소와 통사적 구조와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발화를 하는 것과 듣는 것의 인지 과정을 연결 시켜 보여주는데 있어서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운율적 요소가 통사적으로 모호성을 지니고 있는 문장 내에서 어떻게 문장이의도하는 바를 정확하게 전달하는지에 대하여 연구 하고, 또한 모호성을해결하는 경우에 있어서 영어 원어민 화자와 한국인 영어학습자 사이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운율적 요소와 통사적 요소 이외에 다른 요소들은 실험에서 배제함으로서, 운율적 요소만이 문장내에 존재하는 모호성을 어떻게 해결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가 청자의 입장에서 영어 모호성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도 알아보았다. 발화단계에서의 상대적 길이와 F0를 근거로 모호성 해결 여부를 판단해 보았을 때, 영어 원어민 화자와 한국인 영어 학습자 사이에서는 일부의 경우에는 명백한 차이를 보이기도 했지만, 일부에서는 영어 원어민이 발화한수준만큼의 한국인 화자의 발화가 이루어져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경우도 존재한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듣기 실험에서 보면, 영어 능력정도와 모호성 해결 간에는 상관관계를 보이기는 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할 정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