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미혼모 경험 형성기이자 관련 제도 도입기인 1970년대 미혼모 보호사업의 형성 과정과 미혼모에 대한 기사 재현 분석을 통해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 과정을 살피는 것이다. 1970년대 미혼모 보호사업은 70년대 초반, 정부가 약속한 미혼모에 대한 공적 보호사업 확대가 이뤄지지 않은 채 미혼모 상담사업이 확장되면서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었고, 70년대 후반 점차 미혼모 보호사업은 본래의 목적인 미혼모 모성보호 성격을 상실하고 후반에 갈수록 아동보호사업과 구분되지 않는 양상으로 특히, 입양 상담사업과 동일시되었다. 미혼모 재현에 있어서는 1970년대 초반 미혼모들은 위태롭기는 하지만 출산에 이어지는 어머니됨의 경계에 선, 어려움에 처한 어머니로 재현되었다. 반면 1970년대 중반 미혼모는 여공에서 더 나아가 아이를 버린 비정한 미혼모로 재현되었고, 1970년대 후반은 미혼모 재현 자체가 거의 이뤄지지 않거나 짧게 구호의 대상으로만 등장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the institutional protection system formation for unwed mothers and the social recognition of unwed mothers with newspaper articles in 1970s. Without expansion of the government’s promised public protection for unwed mother, unwed mother protection programs had to encounter limitations. As a result, unwed mother protection programs had lost their own purpose for unwed mother’s maternity protection and were identified with the adoption counseling programs. In the representation, unwed mother of early 1970s had maintained their maternal status as a mother in distress before and after of getting pregnant and giving birth in border of motherhood. In the mid-1970s, unwed mothers were represented as mother who gave birth but gave up a baby, and furthermore ‘abandoned’ their children. In the late 1970s, the number of unwed mother related articles became relatively rare and the represented images had become a symbol for social help, and a metaphor of women who were excluded as the social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