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Pine and Gilmore (1998)의 체험경제이론을 적용하여 캠핑체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캠핑관광객들의 체험만족과 행동을 4가지 체험요소 (교육적 체험, 오락적 체험, 일상탈출 체험, 미적 체험)와 3가지 체험가치 (환경적 가치, 기능적 가치, 감정적 가치)를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개의 캠핑장을 방문한 420명의 캠퍼들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 분석결과, 캠핑관광객의 각 체험요인이 체험가치, 만족도 및 캠핑장 재방문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교육적 체험과 미적 체험이 환경적 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교육적 체험, 오락적 체험, 그리고 미적 체험이 기능적 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오락적 체험, 일상탈출 체험, 그리고 미적 체험이 감정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3가지 체험가치 요인들은 모두 캠핑관광객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만족도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환경기반 관광에서 기능적 가치가 정서적, 환경적 가치와 함께 캠핑 관광객의 만족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실증분석결과를 토대로 관광객의 체험에 관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 economy in the camping experience context. To assess camping tourists’ experiences, Pine and Gilmore’s (1998) four realms of experience (educational, entertainment, escape, and esthetic experience) were applied. Also, three dimensions (environmental value, functional value, and emotional value) were proposed to examine experiential value. For this purpose, onsit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420 camping tourists staying at two different campgrounds in Seoul, South Korea.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ndicate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amping experiences and camping tourists’ experiential value, which, in turn, affect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Specifically, educational and esthetic experiences positively influence environmental value, and educational, entertainment, and esthetic experiences significantly affect functional value, whereas camping tourists’ entertainment, escape, and esthetic experience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emotional value. All experiential values significantly influence satisfaction which, in turn, has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functional value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fluencing tourists’ satisfaction, along with emotional and environmental value, in the context of nature-based tourism. Overall, the findings of this study advance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n tourists’ experience evaluation process and offer practical implications for camping planners and decision-ma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