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정책문제구조화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실제 정책사례 발굴에 적용하였다. 정책문제 정의의 관점에서 행위자, 정책이념, 이해관계의 3가지 변수에 따라서 행위자들이 경제민주화의 구체적인 내용을 어떻게 정의하는지 조사하였다. 이 과정에서 정책이념과 이해관계에 기초한 행위자의 주장을 표현하는 담론 용어들을 이슈정의 및 표층 프레임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은 2010년에 골목상권보호 및 SSM규제 입법화를 계기로 촉발된 경제민주화의 논의가 2012년의 총선과 대선, 2017년의 대선을 거치면서 어떻게 구체화되고 변화하는지를 각 정당의 공약 및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의 경제민주화 담론은 재벌개혁, 공정거래(시장질서), 중소기업・소상공인 보호의 3가지 문제정의가 근간을 이루면서, 이것이 행위자 및 시기에 따라서 우선순위가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developed a model for policy problem structuring and applied it to a case study. After classifying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problem definition, into ideology, interests, and context, we analyzed how the actors (namely,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parties) have defined the contents of economic democratization. Using a discourse and frame approach, we discussed how the economic democratization, which had been triggered by the alleyway trade protection and the SSM regulation in 2010, have transformed and become a concrete policy as it went through the general election and presidential election in 2012 and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2017. Our major finding is that the discourse of economic democratization in the Korean society has continuously changed by time and the actors, and that it has revolved around three themes: reform of chaebol economy, fair trade and antitrust (market order), protection of small businesses and tra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