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스탈린의 외교의 공격성과 팽창성을 강조하는 학문적 흐름이 최근 대세를 이루는 듯하다. 1950-60년대 냉전 시대 초기에 특히 유행했고 소련 해체 후 강력히 되살아난 이 같은 경향에 대해, 본고는 스탈린의 외교를 수세적인 것으로 바라보며 이 역사에 대한 재구성을 시도한다. 스탈린 시대 소련의 대외 정책의 주된 목표는 소련 정권의 생존이었다. 이를 위해 스탈린은 국제 관계에서의 적국이라 지칭할 있었던 나치 독일, 제국 일본 그리고 트루먼의 미국과의 협상에 열린 태도를 취하였고 수차례에 걸쳐 양보를 단행했다. 때때로 스탈린의 정책 중에는 1939년 폴란드 동부 점령, 1946년의 이란과 터키에서의 으름장, 그리고 1950년 북한 지도자들의 남침 계획 허락과 같은 공세적으로 보이는 움직임들도 포함되어 있었지만, 이들은 모두 소련의 수세를 감추고 외교 무대에서의 실리를 획득하기 위한 술책에 불과했다. 다만 이러한 술책들이 상대 국가의 강력한 도전을 야기하고 그것이 소련의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느껴질 때는, 스탈린은 쉽게 후퇴하곤 했다. 이 같은 수세적 외교는 소련이라는 국가의 생존을 국제 사회주의 운동에 최우선순위로 두었던 레닌의 외교관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


Stalin’s diplomacy has been often associated with its aggressiveness and expansionism. However, the main goal of his diplomacy was just the survival of the Soviet Union in their imagined hostile international atmosphere. Most of his actual policies throughout his era can be characterized as defensive and cautious. Stalin had been quite open to negotiations with, and willing to make concessions to, his enemies like Nazi Germany, Imperial Japan and later Truman’s America, if he thought that those could contribute to the survival of his country. Sometimes Stalin and other Soviet policy-makers made some adventurous moves in the arena of international relations like the occupation of Eastern Poland in 1939, the partial provocations in Iran and Turkey in 1946, and the support of North Korean leaders’ plan to invade the South in 1950. However, when those turned out to be unfavorable to the Soviet interest and become a security threat factor, he immediately backed off and chose for the minimal gains. Such defensive diplomacy had its origins in the time of Lenin who set the survival of Soviet state as the top priority of the international socialist movement over any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