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환경이라는 공유재산(common property)에 관한 관리대응책의 결정방법으로 국가의 일방적 결정이나 비용편익에 따른 시장적 결정은 집행비용․권리획정의 어려움으로 타당하지 않으며, 이해관계인․일반시민의 참여에 의한 공동체적 의사결정방법만이 정책결정의 당부는 물론 책임의 정당성을 귀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업 등의 환경적 조치에 대한 공동체적 해결방식이 성공적으로 작동하려면 그 대전제로 「환경정보공개」가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우리나라 환경정보공개제도는 산업화의 발전과정, 역사적인 관계로 인하여 그 변천과정과 내용은 외형적으로 일본과 매우 유사하다. 우선은, 일본의 환경법제에서 ‘환경정보’에 관한 정의규정이 없지만 초기 「공해법의 확립시기」에는 ‘총량규제’에 근거한 환경문제의 접근으로 사후적인 규제․감시데이터를 의미하였으나, 1993년 「환경기본법」제정을 계기로 생활환경․편의시설에 관한 정보는 물론 리스크정보를 환경정보의 중요부분으로 포섭하는 개념으로 확대되었다. 우리나라 환경법제의 변천과정에서 환경정보개념 역시 1991년 「환경정책기본법」제정을 기점으로 일본과 동일하게 수정․확대되었다. 그리고 일본의 환경정보공개제도의 기본구조는 일반법으로 「정보공개법」이 있으며, 특히 유해화학물질의 배출이동등록제에 기초하여 관련정보를 공개하는 「PRTR법」이 시행되고 있다. 그 밖에 환경기본법을 중심으로 정보공개법에 따른 환경정보액세스권이 허용되기 곤란한 경우 PRTR법 이외에 대기오염방지법․환경영향평가법 등 다수의 개별 환경법에서 환경정보의 공개․공표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우리 환경정보공개제도의 구조 역시 일본과 마찬가지로 일반법으로서 ‘정보공개법’이 있고 일본의 PRTR법에 상응하는 ‘화학물질관리법’을 두고 있으며, 「환경정책기본법」을 축으로 대기환경보전법․환경영향평가법 등 다수의 환경관계법에 의한 환경정보공개제도가 존재한다. 즉, 한․일의 환경정보공개법제의 기본형상은 같다. 한편, 환경정보공개의 구체적 상황을 분석하면, (1) 일본의 경우 정보공개법상 환경정보공개여부가 주로 문제되는 비공개법인정보와 관련하여 제5조제2항 단서(비공개사항의 예외)를 ‘절대적 공개사항’으로 해석하면서 단서의 해당여부에 관해 산업폐기물․방사성물질 등과 같이 업종에 따라 ‘리스크관리’가 유형적으로 추측되면 「단서」를 적용하여 공개를 하며, 제5조제2항 본문은 비공개법인정보이지만 재량적 공개사항으로 비교형량에 따라 비공개로 하는 기준은 ‘객관성과 개연성’이란 엄격한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는 것이 법원의 해석이다. 우리의 경우 정보공개법에서 일본과 동일하게 비공개법인정보를 규정하고 있지만 환경정보와 관련하여 판례 자체가 없다. (2) 일본의 PRTR법은 사업자의 자율적인 신고의무를 매개로 한 사전적․유도적인 환경리스크관리방법으로 자치단체의 관여, 비점원데이터도 정보를 공개하는 등의 특징에 비추어 환경법의 기본이념인 ‘협동의 원칙’(Kooperationsprinzip)에 어느 정도 부응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화학물질관리법」은 민간의 관여와 자치단체의 개입을 차단한 채 리스크 그 자체를 국가의 규제에 의해 관리하고, 정부의 일방적인 화학물질조사에 기초한 정보공개의 법구조로 결점이 많다. (3) 한․일 양국은 다수의 개별 환경관계법에서 정보공개를 규율하고 있다. 다만, 이들 법률에서 정보의 공개․공표․제공 등 다양한 용어로 정보공개를 명시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공권으로서 공개청구가 아니라 사실적․일방적인 것으로 강학상의 ‘정보제공’이다. 따라서 개별법에 따른 정보공개의 수준은 국가․자치단체의 의지, 시민단체 등의 역량에 따라 결정된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환경정보공개제도의 기본구조는 일본과 유사하지만, 환경정보의 행정적․사법적 운용상 정보공개의 수준과 입법형성의 규율방식은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Direct decision by a state nor market decision by cost and benefit as a way to decide countermeasure to manage a common property, environment, is not appropriate, but only a way for a community to make a decision by a participation of a stakeholder and common citizen is able for a suitability of decision making and responsibility to return. Thus, if a solution of community on company’s environmental measure successfully operates, it must require disclosur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as its sumption. Our system to release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very similar to Japan in its changes and contents due to development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and historical relation. First, japanese environment laws did not deal with definition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it meant an ex post regulation or monitoring data as an approach of environmental problem based on regulation of the total amount in early stage to establish pollution laws. However, its definition expands to concept as an important portion of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life environment, convenient facilities and risk information due to the establishment of basic law on environment in 1993.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the changes of environment laws in South Korea expands itself like Japan after the establishment of basic law of environmental policy in 1991. Japanese basic structure of a disclosure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consists of information disclosure laws as a general law and PRTR law to release related information based on registration system on discharge and movement of harmful chemical substance. Besides, in addition to PRTR law, if a right to access to environmental information by information disclosure laws focused on basic law on environment, it consists of air pollution prevention law,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law and a lot of individual environmental laws provide a duty to open and release environmental information. Like Japan, our structure of a disclosure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consists of information disclosure laws as a general law and chemical management law similar to PRTR law in Japan. What is more, in addition to basic law of environmental policy, it consists of air environment preservation law,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law and a lot of environmental related laws provide a system to release environmental information. That is, basic structure of South Korea is the same as one of Japan. In an analysis on specific situation, (1) japanese court construes a proviso of section 2 of article 5 (an exception against undisclosed information) related to corporation’s undisclosed information which a disclosur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matters under information disclosure laws in Japan as absolute matter to be released. When it comes to whether the proviso the above mattes, if a risk management is estimated based upon industrial classification such as industrial wastes, a radiation material and etc., it open the information, applying the proviso the above. The japanese court also construes that the body of section 2 of article 5 provides whether it does not release as a strict requirement, objectivity and probability, by the balance as a discretional matter to release in corporation’s undisclosed information. However, the South Korea court did not deal with environmental information, providing a corporation’s undisclosed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disclosure law. (2) Japanese PRTR law applies a principle of cooperation, referencing a local governments’ involvements, disclosure on non-point pollutant source data as a way of beforehand and inductive environmental risk management using entrepreneur’s autonomous duty to report. (3) Both South Korea and Japan regulate information disclosure in a lot of individual environment related laws. However, these laws are realistic and direct information provide in the lecture, not request of disclosure as a pubic right, providing disclosure, announce, provide and etc. of information in the laws. Thus, the level of information disclosure by individual law based on the will of a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nd capacity of civic organization. Consequently, a basic structure of our system to release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similar to one in Japan, but the level to disclose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an operation of an administration and a justice, and a way to regulate establishment of laws have backwardness.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 , , , , , , ,

Environmental Information,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Risk, Risk Management, Freedom of Information Act, Freedom of Information in Japan, Act on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 System, Material Safety Data Sheet, Framework Act on Environment,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Sofia guidelines, Aarhus Convention, EC Directive on Public Access to Environmental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