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16년 12월 23일, 87세의 나이로 타계한 미국의 역사가 조이스 애플비(Joyce Appleby)는 미국 독립혁명과 미공화국 초기의 정치사상 및 자본주의의 역사에 관한 대표적인 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애플비는 자유주의와 자본주의 사상 및 신념이 초기 미국인들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지배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며 이후 미국인들이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사회질서를 구축했다고 주장하면서 『자본주의와 새로운 질서: 1790년대의 공화주의적 비전(Capitalism and a New Social Order: The Republican Vision of the 1790s』”(1984)과 『역사적 상상력 속에서 자유주의와 공화주의(Liberalism and Republicanism in the Historical Imagination)』”(1992) 등의 저서를 통해 자신의 주장을 체계화했으며 말년에 집필한 『가차없는 혁명: 자본주의의 역사(The Relentless Revolution: A History of Capitalism)』(2010)를 통해 인류의 가장 강력한 발명품 중 하나인 자본주의의 역사에 대한 학문적 집대성을 시도한 바 있다. “자본주의사가(historian of capitalism)”로서 애플비는 미국 자본주의의 기원과 발전 및 형태에 관한 역사적․경제적․구조적 분석에 몰입했던 역사가라기보다는 자본주의적 사상과 질서의 등장으로 인한 인간의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의 변화라는 문화적 측면에 주목하면서, 특히 미국 독립혁명과 미공화국 건국 초기에 미국인들의 개인적 혹은 국가적 정체성 형성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해석하고 있는 자유주의와 그 문화적 구현체로서 자본주의의 혁명적 문화와 새로운 시대적 역할을 검증하고 재조명하는 데 집중해 왔던 역사가라고 할 수 있다. 애플비는 이를 통해 미공화국의 역사적 기원과 국가적 정체성을 자본주의적 사상과 신념의 토대 위에서 새롭게 재정의해보고자 하는 한층 거대한 프로젝트를 수행해 왔다고 볼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미국 예외주의(American exceptionalism)’의 역사서술이 자연스럽게 자리 잡았다는 점 또한 부정하기 어렵다. 애플비가 전통에 도전하고 이를 무너뜨리는 변화와 혁신의 주체로서 주목하는 “자유롭고 평등한 인간”은 애플비에게 바로 자본주의적 인간, 자본주의 문화를 기꺼이 수용한 인간으로 정의된다. 애플비가 판단하기에 자유주의와 자본주의는 부정할 수 없는 역사적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즉 “풍부한 자원과 유연한 사회적 규범을 가지고 있었던, 오직 미합중국에서만이 자유로운 사회에 대한 예지적 비전에 현실적인 힘을 실어주는 것이 가능”했던 것이다. 애플비 자신이 자본주의적 덕목 내지는 문화로 정의하는 자유와 혁신, 진취성, 창조적 지성, 그리고 진보 등은 바로 애플비가 만들어내는 또 다른 미국 예외주의의 핵심 개념들을 이룬다. 다시 말해, 애플비가 만들어내는 미국 예외주의의 실체는 바로 자본주의인 것이다. 하지만 또 다른 미국 예외주의로서 애플비의 미국 자본주의 해석에 대한 객관성과 정당성을 검토해 볼 때 ‘애플비의 자본주의’가 미국 자본주의의 역사를 제대로 담아내고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이 쉽게 해소되는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도 애플비에게 자본주의는 ‘문화’ 혹은 ‘문화체계’로서 역사적으로 가장 혁신적이었고 가장 자유에 부합했으며 가장 민주주의적이었고 또 무엇보다도 가장 진보적이었기 때문에 ‘선택’된 문화로서 이해된다. 이런 입장을 가진 애플비에게 노예제는 무척이나 거북스럽고 난감한 주제로 남아있다. 애플비가 이해하는 한 노예제는 자본주의의 성장에 있어 장애물에 불과하기 때문이며 또한 비인간적인 강제적 노동착취체제로서 노예제가 본인이 규정하는, 민주주의와 한 세트로서 자본주의에 들어맞지 않기 때문이다. 애플비는 자본주의 속에서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적 속성만을 발견해 내지만 인간을 상품화하고 비인간화했던 반(反)자유주의적이고 반(反)민주주의적인 극단적 노동체제로서 노예제가 궁극적으로는 세계자본주의의 창조물이었다는 또 다른 역사로부터 억지로 등을 돌리고 있다는 점에서 ‘애플비의 자본주의’는 애플비의 한 논문 제목처럼 말 그대로 “곤혹스러운 이야기”로 남을 뿐이다. 미국 역사, 특히 미공화국 초기 역사를 규정하는 메타히스토리로서 미국의 자본주의적 기원을 주장하는 애플비의 자본주의는 적어도 민주주의적이면서도 반(反)자본주의적인 또 다른 미국 역사의 가능성이나 개연성을 완전히 배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가들에게 또 다른 책무를 남긴다고 하겠다.


Joyce Appleby, who died on December 23, 2016 at the age of 87, has been recognized as a distinguished historian and author on American Revolution and capitalism, arguing that ideas about capitalism and liberty were fundamental in shaping the identity of early Americans and that they constructed a new social order based on those ideas. Appleby organized her ideas in books like “Capitalism and a New Social Order: The Republican Vision of the 1790s” (1984) and “Liberalism and Republicanism in the Historical Imagination” (1992), and attempted to offers a sweeping new history of capitalism, from its origins in the trading empires of the late Middle Ages all the way through to the Great Crisis of 2008, in “The Relentless Revolution: A History of Capitalism” (2010). While it is easy to understand that Appleby, as a historian of capitalism, had tried to focus on the historical, economic, and structural analysis of American capitalism, she actually had concentrated on examining and shedding new light on the revolutionary culture and epoch-making role of capitalism,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cultural aspects like the change of one’s way of thinking and patterns of behavior. In doing so, Appleby has performed the grander project of redefining the historical origin of American republic and the American identity, based on the capitalistic ideas and convictions. A history of ‘Appleby’s capitalism,’ as another American exceptionalism, is that of “a free and equal people” as an agent of change and innovation and the story of capitalism of democratic and liberal nature. According to Appleby, therefore, the early Americans embraced capitalism as their salvation, an alternative to empire and aristocracy. In this respect, it is not surprising that Appleby is at the pains of turning her back on the capitalist history of slavery as an extreme exploitation system of labor. As long as Appleby regards capitalism mainly as a sort of culture or cultural system, rather than as a political economy, as a power relation, or as class relationships, however, a history of ‘Apple’s capitalism’ remains just as a unfinished story of American capitalism. Appleby’s story of American capitalism is needed to be written more with the story of the place of modern slavery in the history of capitalism, with the story of democratic and at the same time anticapitalistic tradition, and with the “vexed” relationship between the rise of capitalism and the commodification of human be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