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기독대학생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와 회복탄력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전시 5개 대학교의 기독대학생 335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배경변인 중 대학생의 성별은 긍정정서, 전공계열은 부정정서, 연령은 회복탄력성의 하위영역인 통제성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긍정정서와 회복탄력성 전체 및 하위영역인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 간에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정정서와 회복탄력성 전체 및 하위 영역 간에는 비교적 높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긍정정서와 부정정서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고, 각각 독립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대학생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에 대한 회복탄력성 전체의 설명력(36.3%)이 하위영역인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에 대한 설명력(19.2~28.1%)보다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독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긍정정서의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하게하며, 상담 및 교육적 개입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positive emotion(PE), negative emotion(NE) and resilience(R) of the Christian students. For this the author collected the 335 data of questionnaires from the Christian students in Daejeon and carried out statistical analysis. It is resulted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the differences of average scores in the PE, NE and the self-regulation skill of the sub-category of the R reveal statistically of significance in accordance to the sex, academic majors, and age of students, respectively. Second, it was shown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that the relations between the PE, NE, R and three sub-categories of the R such as self-regulation skill, positive tendencies and interpersonal skill indicated strong positive correlation of statistical significance, while the strong negative correlation revealed between the NE and R, or NE and three sub-categories of the R. But it does not hav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PE and NE, implying each as independent parameters. Third, it resulted from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PE and NE on the R of the students that the influence of both PE and NE on the R(36.3%) indicated larger than the influence on the three sub-categories of R(19.2~28.1%), showing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s expected that this result leads to the new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PE in order to improve the R of the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and it will be used as a preliminary data for the interventions of the Christian counseling and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