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인지된 운동능력과 학교체육수업만족, 운동정서 및 운동지속에 대한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초등학생들이 운동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인지된 운동능력의 역할과 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년 3월 ~ 8월까지 G도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방법을 활용하여 325명을 표집하여, 설문에 응답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후 총 290명의 유효 표본을 확보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연구도구로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기초로 하여 이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설문지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 EFA)과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ary factor analysis : CFA)을 이용하여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기법은 구조방정식(structure equation modeling)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생의 인지된 운동능력은 학교체육수업만족, 운동정서 및 운동지속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초등학생의 학교체육수업만족은 운동정서와 운동지속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초등학생의 운동정서는 운동지속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elementary student’s perceived exercise ability, elementary physical class satisfaction,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adherenc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elementary school 5th, 6th grade students who are attending schools in G metropolitan cities in 2015 were selected as the convenience sampling. After excluding incomplete survey forms, a total of 290 valid samples were analyze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is study a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student's perceived exercise ability had a direct influence on elementary physical class satisfaction,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adherence Second, the elementary physical class satisfaction had a direct influence on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adherence Third, the exercise emotion had a direct influence on exercise adh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