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와의 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모형을 통해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다문화가정 초․중학생의 학교급, 성별에 따라 구조모형에서 변인 간 관계의 차이가 있는지 다집단분석을 통해 검정하였다. 분석은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의 초등학생 2,496명, 중학생 1,595명 등 총 4,091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와 관계는 자아존중감을 부분 매개로하여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부모와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는 직접 효과보다는 자아존중감을 통해 매개되는 간접 효과의 크기가 더 컸다. 둘째, 다집단분석 결과 부모와의 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급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성별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계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structure between relationship with parent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in multicultrual families. In addition, multi-group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efficients connecting the latent constructs to the observed indicators are the same across groups. The study made use of data from the National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in 2015. A total of 4,091 students(2,496 elementary, 1,595 middle school students) was analyzed by mea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rents had positive impact on students’ school adjustment and relationship partially mediated by students’ self-esteem. Indirect effect of self-esteem to school adjustment was bigger than direct effect of relationship with parents. Second, in according to multi-group analysis, there was difference in coefficient by gender.